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의 주축이 되어가는 Z세대와 그들이 사용 하는 새로운 미디어인 밈 사용의 행태를 사회적으로 분석하고 밈이란 독 특한 형식의 미디어가 Z세대에게 어떤 사회적 의미인지 연구하는 것이 다. 연구 방법으로는 Z세대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30명의 반구조화 인터뷰와 18명의 포커스 그룹 (6명 그룹 3조) 인터뷰를 시행했 다. 연구 결과 분석으로는 첫 번째, Z세대는 밈을 자기 세대의 기득권적 소속감을 보여주는 영역이라고 한다. 두 번째, Z세대는 밈에서 자신들만 의 문화와 감정을 공유하는 사회 문화적 언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Z세대는 밈은 자신들만의 특정 소비가 만들어지는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밈을 통한 한국 사회 중심이 되어가는 Z세대의 미디 어 사용 행태를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미디어 사용 이유, 방법, 그리고 목적에 대해 사회적, 문화적, 산업적으로 확장하여 연구하는 것에 연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의 시기에 Z세대라는 특 정 세대의 밈이라는 미디어 사용 행태 연구는 타 세대와 미디어 사용 행 태 연구의 정책적, 사회적, 그리고 산업적으로 확장하는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400원
        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the fashion meme,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fashion trend, influential fashion keyword. After analyz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mes from prior studies, examples of fashion memes were collected from online community and social network services, while a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analysis were conducted in parallel drawing on related articles and journals. Modern fashion memes refer to fashion-related symbols and fashion images that are spread online by word-of-mouth, together with fashion styles and items that spread as a result of being worn. Fashion memes in cyberspace are mainly spread through social network or message services, and sometimes combine text, images, videos, hashtags, and emoticons. Fashion memes are a type of collective action of the people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s in the world, and often involve humorous antics, satire, shock, and eccentricity. Shared fashion memes reflect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expression and fun, and at the same time are used as an expression of designer and brand creativity and are integral to marketing. Fashion mem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wo central axes as follows: non-commercial/ commercial and anti-fashion/fashion-friendly. Unlike traditional memes, Internet-based fashion memes emphasize elements of transformation through creativity as well as imitation, which has become a persisting contemporary trend beyond temporary phenomena.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