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발레 기본으로서 발레 스탠스의 중요성이 발레교사와 학습자에게 암묵적으로 주지되었음에도 그 실행 수준의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원인이 발레 스탠스의 개념, 목 적, 그리고 수행방법의 불확실성에 있다는데 주목하고, 발레 스탠스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합리 적인 수행방법은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발레 스탠스의 개념은 ‘발레 양식적으 로 정렬한 전신 기본자세’로 정의하였다. 발레 스탠스의 목적은 ‘가장 작은 면적 위에서 몸무게를 이겨내고 전신을 정렬하는 방법으로 발레 양식적으로 움직일 준비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정의하 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몸의 무게와 방향성을 고저, 전후, 좌우의 3차원에서 중립화하여 몸 전체 혹은 부위를 의도하는 어느 방향으로든 몸의 중심선과 무게중심의 변화를 최소화하며 움직일 수 있는 조건을 갖추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가 동시에 관여되고 특정 부위의 수행을 위한 선행 부위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단계별로 서로 관련된 부위를 함께 기술하는 것이 학습자의 실제 수행을 촉진하는데 더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고, 1단계(발목과 골반각 수정), 2단계(다리의 일직 선), 3단계(척추 양단의 일직선), 4단계(흉곽부의 조정), 5단계(턴아웃, 협응조정, 호흡)로 수행 순 서를 구성하여 초보 수행자의 이해와 실행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발레 스탠스는 전신의 근육이 협응 관여해 발레에서 요구하는 유연성과 근력 발달을 내포하며, 단일 균형에서 다양한 사지의 형태변화가 최소 중심변화로도 가능하다. 발레 스탠스의 이러한 특성이 발레 학습의 효율성과 직 접 관련된다는 점에서 발레 기본의 핵심 조건으로 여겨진 것이라 분석되었다. 차후, 발레 스탠스 에 대한 해부학적 관점에서의 연구, 단계별 적용의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관련 근육의 발레 스 탠스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분석이 후행될 필요가 있다.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