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컬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특정 음악 장르의 유행과 스타의 등용문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장기적 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제작 방법을 통하여 새롭고 특성화된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 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방송사별 보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제작방향을 연구하였으며 보컬 이라는 고정적인 제작요소를 가지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포맷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관련한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다양한 보컬 리얼 리티 프로그램의 기획과 제작의도 그리고 포맷을 제시하였으며 분석범위는 2020년 12월까지 제작 된 보컬 리얼리티 프로그램 중에서 기획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상파방송채널은 전 연령층이 즐길 수 있도록 흥미와 재미 위주의 프로그램으 로 포맷하였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였다.’ 둘째, ‘종합편성채널은 참여 대상자 와 음악장르가 상대적으로 구체화 되었으며 화제성이 있는 프로그램일 경우 휴지기를 통해 장기적 으로 방송되었다.’ 마지막으로 셋째, ‘케이블 채널은 긴장감을 유발하는 경쟁구도를 큰 축으로 프로그램 제작을 하였다.’는 분석이 도출되었다. 본 논문은 보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파생과 변화의 고찰 대상이 같은 방송사 내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라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보컬 리얼 리티 프로그램의 생성과 변화과정에 대해 방송사 간의 다양한 관점으로 확대하여 후속연구를 진행 한다면 좀 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좀 더 다양한 제작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는 방송의 혜택을 모든 국민이 고루 누릴 수 있도록 보편적 서비스를 유지, 확대하기 위한 최선의 방편으로써, 시청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최선으로써 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하고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으로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운영 방송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시청자참여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향후 시청자제작자의 저변확대 및 홍보, 참여프로그램 질 향상,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의무편성, 지역방송사업자 중점 지원, 시청자미디어센터의 활용도 향상 및 미디어교육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 등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본 연구는 방송사 PD들의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방송사별, PD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사별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보면 KBS와 MBC간에는 비교적 유사한 결과가 나타난 반면 SBS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S와 MBC PD들의 경우에는 아낌없는 격려와 지원 등과 같은 집단응집도 요인이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SBS PD들은 조직 통제 및 제작 문화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들의 가치 요인들이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PD유형별로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예능 PD들의 경우에는 팀워크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양 PD들은 구성원들 간의 신뢰도가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능 PD와 교양 PD 모두 조직 통제 요인이 부적인 방향으로 업무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하게 드라마 PD들의 경우 방송의 사회적 역할이나 구성원 간의 유대감 등은 부적 방향으로 업무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broadcasters' websites, there were more reports during the typhoon Bolaven/Tembin in 2012 than in 2002 and 2003. Checking related press releases of each broadcaster on NAVER, YTN reports are 3 times more than KBS. Considering great technology progress in the Internet and smart phone user environment compared to the past, it is thought to be rather regretful in that KBS has been the supervising broadcaster over Korean disaster. As a result of daily reports, the year 2002 typhoon Rusa was reported from the date of its arrival on Korean Peninsular to 3 days, but the information required to be provided for disaster prevention before its arrival was too scarce. 2003 typhoon Maemi was reported as many times as the 2002 typhoon, but its information was provided before its arrival. This is meaningful because the information provision was intended for disaster prevention unlike the past. In 2012, the number of weather forecast broadcast on the typhoon Bolaven/Tembin increased greatly compared to 2002 and 2003. This was also determined to be due to abundant information provided by broadcasters and the Internet portal sites as a result of great progress in Korea internet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