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백강잠(Bombycis corpus)은 흰가루병 또는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이라 불 리 우는 곰팡이균에 감염되어 죽은 누에(Bombyx mori)를 말하는 것으로, 최근 연 구결과에서는 항경련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수면촉진작용, 미백작용, 부신피 질자극작용 및 당뇨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가 되어 있다. 누에 유충이 백 강잠으로 되게 하는 원인균인 백강균은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일종으로 같은 종 (species)에 속하는 것들이라도 분리된 곰팡이마다 살충활성을 비록하여 서로 다 른 생물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용 목적에 따라 최적의 곰팡이 균주의 분리 및 선택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백강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백강잠의 생성과 그 효능이 다양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백강균의 종류에 따라 생 성되는 백강잠의 다양성을 비롯하여 효능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으므로 백강균의 종류에 따른 백강잠의 생성의 다양성 및 효능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 확보한 20종의 백강균을 이 용하여 백강잠을 제작하고, 생산된 백강잠에서 에탄올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생리 활성 물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하여 항세균, 항산화, 항암 에 대한 활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백강잠의 이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백강균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유적인 백강잠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 대되어진다.
        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 등록된 3가지 식용곤충자원중 하나인 백강잠(Bombycis corpus)은 백강 균(Beauveria bassiana)에 감염되어 죽은 누에(Bombyx mori)를 말하는 것으로 동 양의학에서는 중풍, 풍사, 경련진정, 결핵, 부인병, 소아병, 기미제거 및 종기치료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항경련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수면촉진작용, 미백작용, 부신피질자극작용 및 당뇨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있다. 백강잠의원인균인 백강균은 곤충병원성 곰팡 이의 일종으로, 비록 같은 속(genus) 및 같은 종(species)에 속하는 것들이라도 분리 된 곰팡이마다 살충활성을 비롯하여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용 목적에 따라 최적의 곰팡이 균주의 분리 및 선택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백강잠의 생산에 이용될 수 있는 백강균의 경우, 현재까지 약 500여종이상이 보 고되어 있으며, 이들의 생산하는 물질들의 종류, 생물학적 특성은 각 균주가 개별 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백강균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백강잠 의 다양성을 비롯하여 효능 평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백강잠의 생성의 다양성 및 효능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 분리 확보한 다양한 종류의 백강균을 이용하여 백강잠을 제작하고, 주요 생리활 성인 항세균, 항산화, 항암작용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백강균을 이용하여 백강잠의 생산이 필요함으로 제시함으로써 백강잠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e new natural substances for whitening agent, Baeckji(Angelica dahuria;BK), Seasin(Asarum sieboldii;SS). Baecjgangjam(Bombycis corpus;BGJ) and Mynkanbang(MKB) were selected and extracted by hot water and 70% EtOH, respectively. Hydrothermal and ethanolic extracts of BK, SS, BGJ and MKB were evaluated for anti-oxidative effect, tyrosinase activity,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s and changes in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by using Western blotting. All hydrothermal and ethanolic extracts showed scavenging activities of free radicals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but no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Ethanolic extracts of BK, SS, and BGJ and especially highly, those of MKB inhibited production of melanin in B16 melanoma cells and were able to reduce the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in B16 melanom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ic extracts of BK, SS, BGJ and MKB can be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from natural plan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