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군 복무 부적응자들이 그린캠프 교육을 통해 병영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우리나라 군에 병으로 입대하는 장병은 연 평균 20~23만 명이다. 19세부터 27세 이하의 젊은 남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원은 개인생활에 익숙해져 있으며, 자기주장이 강하며 사생활을 비롯한 인권을 보장을 원하고 있다. 자발적인 군입대가 아닌 강제에 의해 군에 입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사회와 군에서의 문화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동반한 문제가 발생하고 매년 5000천 명이 넘는 현역 부적합 병사가 발생하고 수십 명의 자살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군 문화를 개선하고자 군에서는 그린캠프 를 운영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운영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시설을 확충하며 전문강사 를 협약하고 있다. 군 인성프로그램을 통하여 군 복무 부적응자를 조기에 식별하여 단계적 으로 관리하여 심각한 문제로 발전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군내에서 문제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 장병 스스로가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스트레스 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정신건강 문제이며 심각할 경우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으로 나타 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군 생활에서의 특징인 단체생활에 대한 부적응으로 나타나며 심각할 경우 군 문화에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자연 치유적인 문화를 통해 군 복무 중인 장병들의 군 문화 변화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며 따라서 그린캠프에 대한 과학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캠프에 입소자에 대한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성 검토와 교육을 통한 장병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자연 치유적인 문화 개선에 목적이 있다.
Boot camp programs, frequently called "shock incarceration" programs, appeared in the early eightie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rrectional programs. Offenders in these programs spend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a quasi-military program involving physical training, drill, manual labor, and strict discipline. Since 1983, 49 boot camp prisons have been opened in 33 State correctional jurisdictions, in addition to many programs developed and being considered in cities and counties, and for juveniles. The past decade has witness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concept of boot camps as a potentially effective intermediate sanction for certain types of Offender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oot camps may be a useful alternative sanction to keep first offenders from offending again over the short terms, but that the long-term effects on recidivism or reduction of cost and prison crowding have not yet been determined.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if boot camps are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finement. Because shock incarceration programs confine offenders for relatively short periods (3-6months), they may not be able to prepare the participants fully for readjustment to the community. More follow-up for participants in terms of aftercare services - employment assistance, drug treatment, etc - may, therefore, be an essential aspect of successful programs. Although boot camp programs are expected to remain popular for now, it is not known if growth can be sustained. Among the factors affecting such growth are political and popular interest, success in achieving program goals, and leg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program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