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율주행자동차(AV)와 비자율주행자동차(HDV)가 혼재하는 교통환경에서 자율주행 전용차로 도입 시 차로변경구간 길이가 교통소통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VIS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도로구조 및 교통량, AV All-knowing, Cautious 주행행태를 반영하여 432개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차로변경구간 길이가 증가할수록 교통 밀도와 지체시간은 유의 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속도 및 통과교통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자율주행 전용차로 도입 시 밀도와 지체시간이 증가하고 속도 및 통과교통량이 감소하는 등 일부 부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실제 도로 데이터를 반영한 분석을 통해 연구 신뢰성을 제 고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PURPOSES : Aiming to evaluate the consistency of road markings at night, the luminance values of road markings at night were compared for merging and diverging areas.
METHODS : To evaluate the consistency of road marking at nighttime in merging and diverging areas, the highway geometric structures and luminance of the road marking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gether at the merging and diverging areas. "Luminance" in this study referred to the overall luminance of the road markings as reflected together from surrounding lights, such as moonlight or artificial lights. The luminance of the road markings 90 m ahead of the driver were used. The measured luminance valu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ifference ratios and an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 Based on a grouping of three categories (interchanges (ICs), merging, and diverging area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ratios and analysis of variance values from the ICs and merging and diverging areas were not consistently acceptable.
CONCLUSIONS : After evaluating the consistency of road markings at night in the merging and diverging area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consistency in the luminance on merging and diverging areas on highways. To enhance consistency, more dedicated lighting guidance for merging and diverging areas on highway areas may b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분류부 흐름에 대한 TELEMAC-2D 2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수치실험을 통한 분류유량비 계산식의 비교분석, 분류유 량비 변화에 따른 분류부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수치모형은 분류부 수심평균 유속분포와 수위에 대해 실내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주수로의 하류방향 관성력과 모멘트가 감소하면 분류유량비가 증가하게 되고, 분류수로에서 상대적인 고유속 분포구간은 넓어지며, 분류수로 주흐름의 역방향 유속은 감소한다. 분류유량비가 증가할수록 분류수로 내흐름분리구역 규모는 감소하며, 흐름분리구역 규모 산정시 유선분포 작도뿐만 아니라 종방향 프루우드 수가 Fr≈0 이 되는 지점 확인으로 더 명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