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가사분담 어려움, 양육 어려움, 경제 수준이 추 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 신뢰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 가족 과 출산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0대~40대 기혼 여 성 2,064명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분석을 위해 SPSS 25.0을 활용하였 으며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인과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사분담 어려움이 적을수록, 양육 어려움이 적을수록, 사회 신뢰도 가 높을수록 추가 출산에 영향이 있었다. 특히 평균중심화를 통하여 확 인한 사회 신뢰도의 조절효과로 가사분담 어려움과 사회 신뢰도의 상호 작용, 양육 어려움과 사회 신뢰도의 상호작용이 기혼 여성의 추가 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가사분담 어려움과 양육 어려움 해소, 사회 신뢰도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했다.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를 개발하고,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총 300명으로 뇌졸중 환자 200명과 일반인 100명이었다.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의 4가지 타당도 검증과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결과 문항 이해도 검증에서 15문항 모두 4점대의 점수를 보였으며, 내용 타당도 지수값이 .96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 검증 결과 뇌졸중 환자와 일반인의 K-CIQ 총점 및 각 영역별 점수의 평균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1).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K-CIQ와 SF-36의 상관관계가 .197로 다소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으며,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신뢰도 연구 결과, 내적일치도 값은 .712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통합의 정도 확인 및 재활의 결과 측정을 위한 K-CIQ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K-CIQ가 국내의 다양한 재활 중재의 결과 측정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사회적 독립성과 지역사회 참여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는 사회참여도를 평가하는 사회참여 척도(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RNL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RNLI를 번역-역번역하여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안면타당도 검증은 K-RNLI(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대상자의 문항에 대한 이해도 정도로 검사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은 K-RNLI와 Frenchay 일상생활활동 자기평가 지수(Frenchay Activities Index; FAI), 삶의 만족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도구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 가를 검증하였다. K-RNLI 신뢰도 검증은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내용타당도 검증에서 K-RNLI 도구 전체의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85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안면타당도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K-RNLI는 FAI(γ=.74) 와 SWLS(γ=.54)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신뢰도 검증에서는 내적일치도가 Cronbach’s α 값이 .99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9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사회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 로써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K-RNLI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사회참여 수준을 파악하고 중재계 획 및 중재결과, 연구를 위한 유용한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