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테니스 선수의 생맥산 섭취가 혈중 지질 및 동맥경화 지수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남자 대학 테니스 선수 17 명을 4 주간의 고강도 테니스 하계훈련 중 생 맥산 섭취 여부에 따라 생맥산 섭취군(n=9)과 위약 대조군(n=8)으로 나누었다. 테니스 하계훈련은 4 주 간 주 5 회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예비심박수의 70~90%로 실시하였다. 생맥산은 아침 식사 전, 운 동 중, 운동 중, 운동 후 1 회 110ml, 저녁 식사 후 1 일 총 7 회 770ml 를 섭취하였다. 모든 데이터에 대해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사용하였으며, 시기간 및 생맥산 섭취그룹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분산분석법을 사용하였고, 생맥산 섭취 후 혈중 지질의 차이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생맥산 섭취군은 혈중 지질(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지수가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ⲆTG, Ⲇ LDL 및 ⲆTC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자 대학 테니스 선수의 고강도 트레이 닝 시 생맥산 섭취는 혈중 지질 및 동맥경화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운동 보조제로서 효 과적인 스포츠 음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ngmaksan (SM) prepared with Liriope platyphylla (LP) that had been roasted for different times (0, 30, 60, and 90 min, denoted as S-0, S-30, S-60, and S-90, respectively) The Hunter’s color values such as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were the highest in S-0, while the lowest was found in S-90. The amount of soluble solid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S-60 were higher than the others. None of the samples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H and acidity. The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with the LP roasting time, but the total flavonoid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of the SM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e total ginsenoside (Ro, Rb2, Re, Rf, Rg1, Rg2, Rg3, Rh1, and Rh2) cont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s well as with the LP roasting time.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howed trends similar t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it was more sensitive to the LP roasting time. From these results, the active ingredient in S-60 was high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M increased along with the roasting time of 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