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urrent training is not consistent with the actual working environment of the fishing vessel, even though the advanced fire extinguishing training for international fishing vessels is mandator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lack of timely use of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the difficulty of organizing the fire extinguishing organization were found, and the main problems were analyzed as low understanding of fixe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low awareness of fir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inefficiency of fire extinguishing training.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eafarers Act does not clearly defin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advanced fire extinguishers, and lacks specific standards for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training contents with the STCW-F Convention and STCW Convention are inconsistent.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ire extinguishing organization, internal communication, and fire extinguishing training in ships, as stipulated in international agreements,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domestic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current training consists of general content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fishing vessels, so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emergency response fire extinguishing training manual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training content for fishing vessels considering the special working environment and risk factors of fishing vessels based on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policy support, such as strengthening participation of fishing vessels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he operation of emergency fire extinguishing organizations.
우리나라는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해양관련 종사자들에 국한하지 않고 대국민 해양안전의식 고취를 위해 학교 및 해양관련 단체에서 다양한 교육훈련 및 체험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선원의 안전교육은 SOLAS 규정에 의거 여객선은 10일, 상선은 매월 1회 소화 및 퇴선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세월호 사고 이후 교육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교육 정원을 기존 40명에서 20명으로 줄여 모든 교육생이 실제 교육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교육훈련 형태는 교재에 의거한 이론교육 실시 후 실제 실습을 행하는 2단계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적, 물적 여건상 교육생들에게 많은 실습시간 부여 및 소수인원으로 구성된 실습교육이 곤란한 상황이나 시뮬레이션 기법이 도입될 경우 실습 전 숙달된 능력으로 실습교육의 빠른 진행으로 많은 실제 실습교육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해상안전교육 중 소화훈련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총 3단계로 구분한 교육훈련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이론교육 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개인별 임무 숙지 및 장비 사용법에 대한 이미지트레이닝교육을 추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할 경우 이론교육으로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훈련 전 가상으로 먼저 시행함으로서 실습교육에 빠른 적응이 가능하며 시뮬레이션 특성상 실제 훈련에서는 곤란한 긴급상황 대처훈련 및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반복훈련이 가능하다. 이렇게 실습 전 숙달된 능력을 바탕으로 실습교육의 진행 속도를 증가시켜 많은 실제 실습교육을 수행할 수 있어 교육훈련 효율성이 증대될 것이다. 실제 교육생 설문조사에 의하면 개인별 실습시간 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개발이 필요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발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