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n Ho-cheol, 2014. The basic research for making criterion proposal to public rehearsal of teaching Verbal & Behavior in Korean Subject.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1). This study has a character of basic research to prepare for an appraisal standard plan of a verbal elements and an behavior elements at the time when prospective teachers accomplishes a public rehearsal of teaching in Korean Subject. The public rehearsal of teaching evaluation was evaluated by an evaluator's person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subjective judgment until now. Therefore, it is necessary acutely the objective standard in a public rehearsal of teaching in Korean Subject.
I have extracted verbal elements and behavior elements in quantitative,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 plan of a public rehearsal of teaching in Korean Subject in this fundamental research.
I have photographed a class preview animation of 20 prospective teachers with this purpose and I have analyzed this and extracted a verbal elements and behavior elements. It passes by inspection work and unifiable classification work of an expert for a detailed evaluation element of these 55.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수업관찰 및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수업평가 기준의 목적, 개발이 필요한 이유, 수업평가 기준의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 교사들이 생각하는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바람직한 주체가 누구이며, 수업평가 기준이 개발될 경우 누가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수업평가(기준) 정착을 위한 선결 요건을 고찰하였다. 요약하면, 수업 평가기준은 (1) 초보자를 위한 지침, (2) 숙련된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3) 개선 노력을 집중할 부분을 파악하는 구조, (4) 교직이외의 다른 공동체들과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업평가는 물론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주체는 교사들이어야 하며, 일반 기준과 차별화 되는 교과별 기준, 즉 과학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즉, 교과별 수업평가 기준 개발은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해당사자들이 폭넓게 참가하지 않고서는 성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수업 평가기준 개발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평가기준이 일반 공동체, 특히 교육 공동체에 의해 수용되는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