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BTS의 노래가사 언어 코드 비율 변화와 트위터 내 팬 덤 아미(ARMY)의 메타언어적 코멘트를 통해 BTS 현상에서의 언어 이 데올로기를 탐구하였다. 분석대상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BTS의 앨 범에 포함된 121곡의 노래이다. 연구결과, 영어 코드 선택 비율은 꾸준 히 증가하여 2013년 21.2%에서 2022년에는 57.5%까지 상승하였으며, 반면에 한국어 코드 선택 비율은 2013년 78.8 %에서 점차 하락하여 42.5%로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했다. 또한 트위터에 나타난 팬들의 메타 언어 코멘트를 분석한 결과, 언어 민족주의적 순수주의의 태도와 반-언 어 민족주의적 순수주의의 태도가 대립하는 형태를 관찰하였다. 언어 민 족주의적 순수주의의 태도를 가진 팬들은 한국어 사용을 한국적 정체성 의 실현으로 연결 짓고, 영어 코드의 증가를 우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 편, 반-언어 민족주의적 순수주의의 태도를 가진 팬들은 BTS의 언어 코 드 선택과 정체성의 연결을 지양하며, 언어 코드 선택에 대한 비판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BTS는 적절한 언 어 코드를 사용하여 글로벌 팬들과 소통함으로써 다양성과 포용성을 장 려하고, 팬덤 "아미"는 언어 선택 행위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확대함으로 써 언어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4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ies on Speech Acts of Directives (and the traditional study of Imperative Sentences) of local scholars have achieved some valuable results,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the inner classification of Speech Acts of Directives based on the speaker’s authority and power, the tone of sentence. However, it is observed that in speech communication, a directive sentence is given by the speaker based on some other influences besides those factors, which is against the former studies. Therefore, there should be a more complicated mechanism in the formation of a speech act of directives, not just formed by an individual factor. This article examines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directive speech acts based on the theory of prototypic categories, and take more complicated, organic organized contexts into consideration. The context factors can be divided into constant factors and changeable factors. The combination of the two factors decides the range of selection of directive speech acts and the final form of output of the speech act.
        5,100원
        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ng, Minpyo. 2004. A Contrastive Analysis of Selections of and Responses to Conversation Topics at the First Meeting: A Case Study of Korean, Japanese, Chinese, and Australian University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2). This paper conducts a contrastive analysis of dialogue topics and responses to the topics at the first meeting based on the data produced by Koreans, Japanese, Chinese, and Australians. The main research interest of this study lies in variation observed across nationality and gender. When the conversation topic at the first meeting was about entertainers, less than 20% of the respondents of the four countries reported uneasiness. More than 20% of the respondents showed discomfort regarding the topics of ideal opposite-sex type, one's phone number, or one's boy- or girl-friends. Concerning drinking capacity, most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respondents reported uneasiness. Women of all countries felt discomfort about the topic of one's height.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verwhelmingly felt uneasy about topics of personality or future goals, but Chinese did not. Only Chinese showed discomfort about the topic of the residence place. Looking at gender variation, remark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Japanese and Australian data,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from Koreans or Chinese. When people were asked what they wanted to know at the first meeting with a person of the opposite-sex, people from all countries preferred to know his/her name. People from Korea and China wanted to know his/her age; Japanese wanted to know where s/he was from; Australians wanted to know his/her hobbies. Koreans also liked to know his/her place of residence, but Chinese and Japanese also wanted to know about his/her hobbies.
        5,700원
        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베트남출신 결혼 이주여성들이 그들의 삶의 경험에서 직면해 온 자녀들의 언어선택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자녀가 살아 갈 공간이 한국이며, 현재 결혼상황과 한국의 경제적 우위,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사회 관계에서 한국어가 더 유용한 자녀 언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모국어가 배제 된 일상의 삶 속에서 자녀와 깊은 감정을 나눌 수 없었던 부정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있 었다. 그리고 그들 모국어의 현실적 유용성을 인정해가는 사회적 상황의 변화 속에서 자 녀에게도 자신의 모국어를 가르쳐서 자녀가 이중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미래의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현실을 경험해 가고 있었다. 사회적 상황의 변화가 그 언어와 그 언어 사용자의 가치를 변화시켜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 국어의 유용성이 시간적 차원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인식해 가고 있는 베트남인 결혼 이주여성들의 내러티브는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언어의 공존의 의미를 일깨워주 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