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언택트는 현재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인류의 생활 속 곳곳에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공연예술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에 온라인 공연에 초점을 맞추어 온라인 공연의 특성이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통계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361부를 회수하였고 그중에서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 12부를 제 외한 339명의 유효 응답 설문지를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분석, 가설검증 등의 분석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연구를 통해 언텍트 시대에 온라인 공연예술에 대한 현장성, 가격 적합성, 상호작용성 및 편의성 모두 관람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예술공연의 특성인 상호작 용성과 편의성은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장성, 가격 적합성은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람만족도은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2.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20년 2학기, 각 대학에서 시도하였던 “실시간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이는 추후 온라인 기반 수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진단하고, 한문 교육은 어떠한 점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살피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차지한 비중과 사용한 플랫폼을 파악하고, 그 개선점에 대해 설문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비중”에 있어서는 100% 비대면 수업 중 과반수 이상의 과목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플랫폼”의 경우, 인문계열에서는 “줌(ZOOM)” 플랫폼에 대한 사용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1대 1 채팅” 및 “소회의실” 기능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점”으로 지적된 소통의 부재와 집중도 하락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구체적 한문과 수업 방안을 소개하였다. 제한된 인원으로부터의 설문 조사 내용에 기반하고 있는 본 연구 내용을 일반론으로 단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복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한문수업에 특화된 구체적이고 다양한 모델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였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는 후고를 기약한다.
        6,000원
        3.
        2021.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4.
        202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