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장애중학생에게 선택하기 기법이 여가기술(오목두기,노래방 기기사용하기,모자이크)습득의 과제 수행행동과 과제이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실험은 개별 실험연구의 행동간 복식기초선 설계(multiful-baseline across behaviors)를 사용하였다.기초선 기간에는 선택하기 사용전의 과제수행행동과 과제이탈행동을 측정하였고 중재기간에는 선택하기 활동의 수행행동 및 이탈행동을 측정하였다.실험이 끝난 후 2주후에 기초선과정과 동일한 절차를 통해 유지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행동 1의 오목두기 과제수행행동은 기초선 평균 0%가 중재기간 중 15회기 평균 43%를 보였으며 높은 유지수준을 보였다.행동 2의 노래방 기기 사용하기 행동은 기초선 초기 5.8%를 보였다가 중재기간 중 12회기 평균 63.6%를 보였으며 높은 유지수준을 보였다. 행동 3의 모자이크 활동은 기초선 평균 2.2%의 수행률이 중재 9회기 평균 39%를 보였으며 유지수준 역시 높게 나타났다.아동의 과제이탈 행동의 비율은 오목두기 활동시 기초선 기간 동안 100%의 과제이탈 비율이 중재 15회기 평균 57.3%로 감소하였으며 유지기간에는 낮은 유지 수준을 보였다.노래방 기기 사용 훈련시 기초선 평균 94.2%로 나타난 과제 이탈 비율은 중재 12회기 평균 37.9%를 보였으며 유지기간에는 낮은 과제 이탈률을 보였다.모자이크 활동 제공시 기초선 6회기 평균 98.3%였던 것이 중재 9회기 평균 53.3%를 보였으며 유지기간에는 낮은 과제 이탈비율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선택하기 활동을 통한 여가기술훈련은 자폐장애 중학생의 과제수행행동의 증가 및 과제이탈 행동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