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aterial and method of instruction of the aleatory music at school. In order to apply the aleatory music to school, it is needed to transfer the concept of art philosophy to teenager that the sound and tone, nothing else, should be the basis of the music and it should be handled apar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music. The main portion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teps based on the theory of praxialism in Music Education. 1. The first step is concerned with sensitizing today's adolescents to different sound of music,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Guidance of appreciation). 2. The second step is to introduce students to literature by John Cage to help their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of Aleatory Music(Guidance of literature). 3. The third step deals with methods of instruction to enable students to analyze music(Music of Chages)and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in group. (Guidance of structural analysis and musical note) With the reference of the music score of sound, rhythm, dynamic, duration and tempo, this study introduces how to create the music as a sound through music activities in procedures of performing and improvising without mensural notation. The expected results is the improvement in musical creativity and in the ability to express onself in music. The creative music education make teenager improve their esthesia through the group performance and improvisation. These are most important activities in developing Musicianship. Needless to say, we need to have more concern on the contemporary music how to teach it with which method and material in school.
        6,400원
        2.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존 케이지(John Cage) 우연성음악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이다. 1950년대 초 케이지는 “음악의 해방”이라는 철학적 기획을 가지고 자신의 우연성 음악을 탄생시켰다. 케이지는 작곡가의 의도를 배제함으로써 연주자와 소리를 기존의 음악적 시스템으로부터 해 방시키고, 작곡가 자신의 자아로부터 자유롭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자유이념의 기원을 동아 시아 철학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서양음악사에서 “동아시아 철학”은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 을 상징하는 일종의 기표로 작용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연성음악의 이념적 배경이 동아시아 철학에 근거한다는 시각은 양자 사이의 사상적 차이를 너무 간과한 것은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케이지는 우연작동법을 통 해 모든 개념을 제거하고 자아로부터 자유롭고자 하였으나, 실제로 우연성음악에 존재한 것 은 자아로부터의 자유라기보다 의식적 사고의 억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연성음악에 서 선불교와 주역은 그 본래의 사상과 취지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왜곡되었다. 선불교와 주역 또한 논리적 의식이나 자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지만, 그러한 초월이 경험적 자아의 부정이나 의식적 사고의 억압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케이지의 무의도성과 별로 관련 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이드러낸 우연성음악의 사상적 배경이 동양정신에 근거한다기보 다 “오리엔탈리즘”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동아시아 철학은 케이지의 진지한 접근과 성찰에도 불구하고 유럽전통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그의 필요에 의해 이용된 측면을 부 정하기 어려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