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학술 지에 게재된 위기개입·상담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13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 다. 논문 분석을 위하여 넷마이너(Net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한 키 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해 키워드 빈도분석, 키워드 동시출현빈도분석과 함께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등의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토픽모델링분석 을 통해 논문에 잠재된 토픽과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키워드 빈도분석에서는 자살, 상담자, 전문가, 학교, 청소년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고, 토픽모델링 분석에서는 토픽-1(외상 스트 레스 위기상담), 토픽-2(취약계층 위기개입), 토픽-3(위기청소년 가족통합 서비스), 토픽-4(위기가정 개입), 토픽-5(자살집단 위기대응) 등 총 5개의 토픽이 등장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기개입·상담에 관한 연구는 다 양한 위기집단을 대상으로 위기 후 외상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과 대응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위기개입·상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위기개입·상담에 필요 한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 청소년의 심리상담 연구로 위기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S시 S구 소재의 G연 구소의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일부터 2023년 12월 10일까지 약 3개월간 설문 조사를 하였다. 표본 추출은 205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위기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사회적 지지, 정신적 웰빙을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은 친구지지, 가족 지지, 교사지지이고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은 인지, 정서, 행동이며 정신적 웰빙은 정서적, 심리적, 사 회적 웰빙이다.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의 요인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 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위기 청소 년의 심리상담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위기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위기 청소년의 심리상담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위기 청소년의 정신적 웰빙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위기 청소년의 심리상담 연구에 서 정서적 웰빙, 심리적 웰빙, 사회적 웰빙인 정신적 웰빙의 하위 요인이 위기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을 부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영 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에서 정신적 웰빙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기 청소년의 사 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위해서는 정신적 웰빙과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위기 청소년의 연구와 교육 및 상담의 성장과 관련 단체의 기여도에 기초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