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어 화자의 음성 처리 과정에서 지각과 산출이 어떻게 상호작용하 며, 음절 내 음향 단서들이 어떤 방식으로 통합되어 실현되는지를 실험적으로 규명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중국어의 /p/–/pʰ/ 자음을 네 가지 성조 조건에서 제 시하여 지각 및 산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각 실험에서는 성조의 시작 주파수(F₀)가 자음의 기식성(VOT) 지각에 영향을 미쳤으며, 산출 실험에서는 유기음 뒤의 시작 F₀ 가 더 높게 실현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음향 단서들이 지각과 산출 과정 모 두에서 상호작용하며 통합적으로 실현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성조 언어의 음향 단서 통합 양상을 실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음성 이론뿐 아니라 중국어 교육 및 음 성 기술에도 실용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at unveiling phonetic cue weighting of English word recognitio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using a web-based online perception experiment. The longer duration of a high front tense vowel than that of a lax counterpart is used as a cue b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presumably as a cu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e longer duration of a vowel before voiced stops than that of an equivalent before voiceless stops serves as a cue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also probably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 web-based online experiment has been designed to examin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cope with a mixture of fine grained phonetic cues. Results of the web-based online experiment reveal that duration is primarily and robustly used to distinguish a tense vowel before voiced stops and a lax vowel before voiceless stops. At the same time, spectral cues are also put to use, though to a lesser extent, to help make a distinction from a tense vowel before voiceless stops and a lax vowel before voiced stops. The study implies that learners of English try to utilize a complex mixture of acoustic cues to distinguish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