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is a major storage medium for intracellular calcium (Ca²⁺). Changes in ER Ca²⁺ homeostasis can lead to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ER stress), which, in turn, activates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However, the mechanisms involved remain uncle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thways involved in ER stress, ER Ca²⁺ homeostasis, Ca²⁺ channels, and related oral diseas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up to April 8, 2025, was performed using PubMed and Google Scholar with specific terms for ER stress, Ca²⁺ homeostasis, and oral diseas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in both graphical and narrative forms. Disruption of ER Ca²⁺ homeostasis leading to ER stress and UPR can cause cellular dysfunction and inflammation in oral tissue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R Ca²⁺ homeostasis and ER stress in oral diseases could provide new targets for oral disease treatment.
        5,100원
        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NaCl) 스트레스 하에서 근대의 이온축적 및 삼투조 절물질로 알려진 Glycine betaine (GB) 함량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0, 100, 200, 300 및 400mM의 염(NaCl)을 처리하여 생장, 이온양상 및 GB 함량을 조사하였다. 염(NaCl)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근대 잎의 건중량은 염(NaCl) 0, 100 그리고 200 mM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00 mM 이상의 염(NaC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내었다. 양이온 함량은 염(NaCl) 농도 및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Na+ 이온을 축적하며 K+, Mg2+, Na+, Ca2+ 그리고 Fe2+ 순으로 식물체 내에 함유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총 이온함량과 삼투몰 농도는 염(NaCl) 농도가 증가함 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와 같은 무기이온 을 직접적인 삼투 조절자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ycine betaine은 10일째까지는 함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 처리 후 20일째 200 mM 염(NaCl) 농도까지 현저하게 Glycine betaine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300mM 염(NaCl)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 는 염(NaCl)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질성 삼투 조절물질로 Glycine betaine을 축적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근대는 식물체 내로의 염(NaCl)의 유입을 배제하는 기작보다는 효율적인 염(NaCl)의 재분배 및 구 획화와 무기이온을 삼투조절에 이용하며, Glycine betaine 과 같은 세포질성 삼투조절물질을 축적하는 생리적 특성 으로 염(NaCl)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