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능엄경』에 나타난 두 가지 전도망견(顚倒妄見)인 별업망견 (別業妄見)과 동분망견(同分妄見)의 양상을 통해 진심(眞心)과 망심(妄心) 을 명확히 구별하고, 마음의 정체인 상주진심(常住眞心) 청정명체(淸淨明 體)에 대한 요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붓다는 진견과 망견을 구분 하지 못하는 아난을 깨우치기 위해 두 가지 전도망견으로서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을 설법하였다. 아난은 칠처징심(七處徵心)과 십번현견(十番顯見) 에 제시된 마음의 소재와 진심에 대한 설법을 듣고도 망상으로 인해 깨 달음을 얻지 못했다. 중생이 망상으로 진심을 확인하려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망상의 범주에서 벗어나 진심에 이를 수 없게 된다. 전도망견의 설법은 망상의 범위를 아체(我體)에서 현상계(現象界) 전체 로 확대하여 법집(法執)의 경계까지도 타파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본 논 문에서는 별업망견을 설명하여 망견이 허상을 만들고 시비를 따지는 양 상을 논의하고 동분망견을 설명하여서 중생의 공통된 망견을 밝히고자 하였다. 두 가지 전도망견인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을 통해 한 중생이 세간 을 보는 방식이 모두 망견임을 밝히고, 모든 중생이 일체 세간을 보는 것이 망견임을 밝혔으며 나아가 일체만물과 일체중생의 모든 현상이 다 망견으로 인하여 허망하게 화합생멸함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중생이 허망한 화합생멸상을 벗어나 진견을 통하여 만물이 일체 여래장묘진여성 임을 깨달아야 생사의 윤회를 끊고 상주진심의 자리로 들어갈 수 있음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