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해(진도·완도·강진·고흥·여수)의 여러 도서지역을 조사하여 식생을 유형화했고,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우점 도·출현종수를 기준으로 난온대림의 훼손등급 평가기준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훼손등급별 복원유형과 복원기법을 제시하여,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자 했다. 307개의 식생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TWINSPAN기법으 로 식생유형화를 시도했는데 8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됐고, 각 군락별 상록활엽수종의 출현 특성을 파악했다. 군락은 해발 86.6m의 사면하부에 위치했고 참식나무와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했다. 군락Ⅱ․Ⅲ은 해발 10.5∼22.5m 이하의 저지대 해안가에 출현하는 군락으로서 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구실잣밤나무가 우점했다. 군락 Ⅳ·Ⅴ는 해발 71.9∼ 153.4m 사이의 사면 하부·중부에 분포한 군락으로서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이었다. 군락Ⅵ는 해발 166.9m의 사면 하부·중부에 위치하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참식나무가 우점했고, 마지막 군락 Ⅶ ․ Ⅷ은 해발 187.8∼246.2m의 사면중부에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가 출현했다. 정리하면, 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 등이 우점한 상록활엽수림은 주로 해안가 저지대에 출현했고, 구실잣밤나무군락은 이 군락보다 더 높은 내륙지역에 분포했다. 이 두 군락보다 더 높은 곳의 내륙 고지대에는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 등의 가시나무류 군락이 나타났다. 상록활엽수의 교목층 상대우점치와 교목성 상록활엽수 종수에 따라 훼손등급을 0∼Ⅴ로 구분했다. 그 훼손등급에 따라 복원유형(보존형, 유도형, 갱신형, 조성형)과 복원기법을 제안했다.
해양에너지를 지역냉난방설비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론적 관점에서 출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의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500m×500m 메시를 개발하고, 메시 특성에 따른 유형별 분포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연구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광역시의 총 16개 단위행정구역 중 연제구, 중구, 해운대구를 제외한 13개 구군(區郡), 108개 동(洞)별 유효 건축정보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500m×500m 메시를 개발하였다. 총 3,289개 메시가 유효한 건물바닥면적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용적률 50% 이상인 메시는 325개(9.9%), 100% 이상인 메시는 59개(1.8%), 200% 이상인 메시는 30개(0.9%), 300% 이상인 메시는 25개(0.8%)로 나타났다. 용적률 50% 이상인 325개 메시를 주성분분석과 클러스터분석에 의해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를 500m×500m 메시 맵 위에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상업시설 중심의 1유형은 수영구 광안동, 주거시설 중심의 4, 5유형은 남구 용호동 등이 대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의 대표 유형으로써 주거중심의 주상복합 특성을 갖는 3유형은 남구, 동래구, 북구, 사상구 등 부산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Hilly/Mountainous and Less-Favored Areas from the viewpoint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nd to establish selection criteria and categorize of that areas. Using three type guidelines which were the rates of forest(above 50%), farmhouse population(above 50%)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below 50%), the regions of 605 Eup Myon were selected to Hilly/Mountainous and Less-Favored Area. And for applying to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the legions of eup myon were classified 4 types using average of the rate of forest and aged farmhouse population(75%, 17.5%). To conserve the farmland in Hilly/Mountainous and Less-Favored Areas, it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on systematic approach metho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 development formula according to farmland scale and desolated degree through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farml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on the spatial boundary of rural development protect by areal classification technique with spatial reference to searching of areal homogeneities in two hierachial administrative units, Ri Eup/Myun. In this study, a criterion for judging areal homogeneities is the degree of agriculture and urbanizing. Variables selected by these two criteria are analysed with the method of fator analysis. The results of are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factors in areal analysis is getting less. Second, areal classification by Myun, Ri in Ansong City is revealed variously because of urban factors. Urban factors make areal heterogeneities become greater, Therefore urban factors are important when analyzing areal characteristics. Third, lately, in areas near by Chung- cheong Do and areas with bad road's condition, areal heterogeneities have been also getting greater.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areal characteristics of Myun and R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urban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on the areal characteristics than agricultural factor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for inindle spatial boundary between Myun unit and Ri uni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