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팀발명의 정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면서 전자산업, 자동차산업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해온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발명자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특성들이 발명 자들 간 혁신성과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내에서 더 많은 발명자들과 연결 되어 있을수록 더 높은 혁신성과를 보였다. 기존 문헌들이 산업내 및 산업간, 그룹내 및 그룹외 파급효과를 조직 수준에서 다루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발명자 수준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파급효과풀을 새롭게 추가하여 네트워크 내외, 그룹 내외, 산업 내외의 3가지 차원에서 파급효과풀들을 구성한 후 각 파급효과풀들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 으며 서로 간에 비교하였다. 발명자 수준에서 다양한 파급효과풀들이 혁신에 미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명자의 네트워크 특성들과 파급효과풀들이 발명자의 혁신 성과에 대한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글로벌 지식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환경 하에서 다국적기업의 모기업과 자회사의 관계도 기존의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변화되고 있다. 즉, 현지경쟁에 필요한 기술을 모기업에 일방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자회사차원에서 필요한 지식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하고 창출해낼 수 있는 창조적 자회사로의 진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모든 자회사가 창조적 자회사로 진화되는 것은 아니다. 창조적 자회사로 진화되기 위해서는 모기업으로부터 일방적인 위임보다는 자회사차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혁신 주도권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창조적인 자회사로 진화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회사차원의 혁신 주도권에 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아직까지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배경 하에서 자회사가 창조적 자회사로 진화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자회사의 기술혁신 주도권에 주목하고, 기술혁신주도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이론과 네트워크 이론관점에서 자회사차원의 기술혁신주도권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1) 자회사 기술결합능력 2) 모기업과 자회사 간 관계특성 3) 자회사의 시장 환경 측면으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국내 외국인 자회사의 기술혁신주도권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가속화될 전망인 지식경쟁 하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요구되는 모기업과 해외자회사 관계와 자회사의 역할에 관해 새로운 인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bability that experiment stations,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xtension centers,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entral government organs, or civilian and other related organs will be the first choice of the compositional subjects of local innovation networks. While gender effec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ducational level, income, main acquired information, sources of necessary information, and frequency of information acquisition sessions were significant, and the preference ranking model was highly relev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highly academic and business-related information was most likely to be acquired from the civilian sector; agricultural technology such as technology, crops/plants, storage, and circulation was most likely to be acquired from experiment stations and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information on agricultural production was most likely to be acquired from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