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청대 협의공안소설의 대표작 三俠五義 속 서술적 특징 중 하나인 상투구 가 조선시대에 출간된 包閻羅演義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활용되는지에 대해 논의하 는 데 있다. 상투구는 백화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서술 방식이면서 스토리를 구성하 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백화소설의 원본인 공연본이 현재까지 대부분 유실되어 상투구가 형성된 원인에 대한 고찰이 쉽지 않던 중 三俠五義 원본 계열 石派書龍圖公案이 발견되어 상투구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 라서 이에 대한 연구 성과가 학계에 조금씩 소개되고 있는데 三俠五義 최초의 국 내 버전 包閻羅演義 스토리 역시 상투구로 구성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三俠五義 상투구가 국내 버전에 어떠한 형태로 수용되어 설정되었는지에 대한 논 의가 이뤄질 수 있다면 해당 작품 속 스토리의 구성 요소가 수용된 근거 뿐만 아니라 三俠五義가 包閻羅演義로 재창작된 근거 역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 다. 따라서 본고는 三俠五義가 包閻羅演義로 재창작되는 과정에서 전자의 상투 구가 어떠한 형태로 수용되어 적용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두 텍스트 속 상투구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