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2주간의 맨손 근력운동 수행이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혈청지질, 인슐린 및 C-peptide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EG, n=13), 대조군(CG, n=13)으로 구분하여 실시하 였다. 맨손근력운동 강도는 주관적 운동 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를 사용하였으며, 1-4 주, RPE 12-13, 5-8주, RPE 13-14, 9-12주, RPE 14-15로 설정하여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분 실시하 였다. 자료처리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 과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그 룹 내 시기 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 각 항목 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통계 방식에 따라 .05와 .025로 각각 달리 설정하였다. 그 결과, TG(p<.01) 및 HDL-C(p<.05)에서 상호작용 효과, 인슐린(p<.05) 및 C-peptide(p<.01)는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 상의 결과, 12주간의 운동이 혈청지질 중 TG, HDL-C를 개선이 나타났고, 이는 혈관 및 대사 기능의 측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라 생각된다. 하지만, 인슐린과 C-peptide에서는 운동군보다 대조군이 더 많이 증 가하여, 맨손근력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이는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나이가 고령 임을 감안하였을 때, 비교적 짧은 저항운동 기간으로는 인슐린과 C-peptide의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맨손근력운동은 노인이 부상의 위험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다 양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tailed sizing system for lower body clothing for elderly obese women, using data from the 8th Korean Anthropometric Survey. The research targets 296 elderly women aged 60 to 85, selected from 805 participants in total, who meet the following criteria: Rohrer Index of 1.6 or above, Body Mass Index of 25 or higher, and Waist-Hip Ratio of 0.85 or greater. Elderly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exhibit shorter lower body proportions and greater fat accumulation in the torso, around the chest and waist. The findings show that women in their 60s have the highest level of obesity, while waist width and thickness are greatest in women in their 70s, suggesting that abdominal obesity increases with age.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the main measurement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5cm increments for height, while waist and hip girth were categorized into 5cm and 3cm, respectively,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sections. Clothing size standards for lower garments that require a precise fit, such as skirts and formal pants, are presented in 13 sizes, corresponding to a waist girth range of 85–100cm and a hip girth range of 88–97cm. Detailed measurements are categorized into primary and reference areas. Additionally, sizes were presented differently based on whether a precise fit was necessary. For items that did not require a precise fit, ranges were indicated with letters, or ranges were indicated with measurements. Detailed sizes were categorized into primary and referenc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