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고츠스키(Vygosky)의 사회문화 이론은 특히 제2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학생들은 협동적인 학습 활동을 하면서 영어를 더 잘 배우고 성장하며 발전한다. 게다가 쓰기단계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인식과정을 거쳐 향상되고 발전한다. 본 논문은 쓰기 수업을 하는 학생들로부터 피드백을 도출하기 위해 구글 독스(Google Docs)를 이용하여 사회문화이론이 쓰기수업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모 대학의 영어수업에서 진행되었고, 참가자는 영어교육과 학생 11명이다.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비계설정(Scaffolding), 동료 피드백 촉진(Peer Feedback Facilitation) 등의 과정을 통해 강사가 학생들이 한 문장에서 시작하여 단락까지 씀으로써 결국은 영어로 에세이를 쓸 수 있게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다섯 단락 정도의 에세이를 쓸 수 있을 만큼 학생들의 작문실 력은 향상되었고, 격려를 통해 서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과 공감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업 분위기도 개선되었다. 이러한 기술적인 동료 피드백은 동기부여를 위한 효율적인 방식이며, 학생들에게는 영어쓰기학습에서 자신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사회문화이론의 적용을 통해 학생들은 제2외국어에 대한 지식을 습득 하고 더 발전시킬 수 있으며, 낮은 단계의 이해에서 더 높은 수준의 지식 으로 나아가게 하는 상호작용의 시너지를 만들어 낸다.
        7,800원
        2.
        2018.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llocational competence is important part of L2 English amplifier acquisition. This competence entails learners' ability to use the right combination of words with natural-sounding semantic prosody. It is known to be an integral part of mastering pragmatic function of L2 English vocabulary, which also is a challenge for the learners at the same time (Zhang, 2008). Despite the importance, previous studies on ESL/EFL learners' amplifier use lacked empirical evidence and insight about semantic prosody. The purpose of present learner corpora-based study was to fill the existing research gap by finding patterns of amplifiers. Two existing corpora were selected, coded, and analyzed to fulfill this purpose; they are Korean EFL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NE). Results from analysis found Korean learners' overall underuse in amplifiers. Also, frequently occurring amplifier ranks for each corpus differed. Semantic prosody analysis revealed that amplifier associated with dominantly positive connotation were very, really, and highly. Amplifiers associated with dominantly negative connotation were extremely, absolutely, severely, and greatly. Contrast analysis showed that the only amplifier that Koreans and NEs used amplifier to signal same semantic prosody dominantly was severely (negative). Other than that, Koreans and NE showed salient discrepancies in semantic prosody use.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vocabulary teaching need to include semantic prosody, and the first step will be to conduct ESL/EFL teacher education about it (Zhang, 2009). It's important to remind them of the value of semantic prosody in language communication (S Lee, 2011).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