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terventions for acute low back pain include exercise therapy such as stretching, aerobic exercise, and sling exercise. Another treatment method for back pain is soft tissue release. Soft tissue release is a relaxation method that improves balance while allowing tension tissues to relax as much as possible.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acute low back pain on the massage ball exercis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twenty-eight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Massage ball exercise with TENS group (MBETG, n=14) and th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group (TG, n=14). For MBETG, massage ball exercise (BALLance Dr. Tanja Kühne method) was applied for 25 minutes followed by TENS for 15 minutes. The TG group applied TENS for 40 minutes. Each group conducted the intervention three session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surface electromyography (%MVIC),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each group. Results: Significant reduction was observed for NPRS and ODI in the MBETG (P<.05). And Significant higher was observed for %MVIC of the Erector spinae in the MBETG (P<.05). The NPRS and ODI in the MBETG were decreaed than the TG (P<.05). Conclusion: Massage ball exercise to patients with acute back pain will be effective in reducing pain, increasing muscle activity, and improving functional disability.
        4,000원
        2.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통증제어가 거의 불가능한 급성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바로 누운 자세를 할 수 없는 환자에게 불가피하게 자기공명검사를 받아야할 환자를 위해 기존촬영방법인 정상 체위 바로 누운 자세 대신 변형된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하여 기존 척추 전용 코일과 복부 전용 코일을 이용하여 요통을 경감시키고 불안정한 자세 보정과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을 줄여 장시간 검사를 받는 환자에게 피로감을 감소시켜 자기공명검사의 성공률을 높이고자 한다. 평가방법으로는 영상의 질을 정성적 평가로 하였으며 결과로는 정상인 연구대상자 기존촬영방법인 바로 누운 자세의 평균 점수는 4.64점, 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A군)는 3.44점, 극심한 요통을 호소하는 비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B군)는 3.40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상인 연구대상자의 기존촬영방법인 바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한 정성적인 평가는 예상대로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와 극심한 요통을 호소하는 비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로 검사한 영상의 정성적 평가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극심한 요통을 호소하는 비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B군)의 영상평가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영상판독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를 진행함에 불편을 겪는 환자에게 이러한 기법이 보편화 된다면 임상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