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establishes a pay adjustment factor scheme that will penalize or provide incentives to contractors after pavement construction in Seoul City. METHODS: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wherein acceptable quality characteristics (AQCs) of the field mixture such as the aggregate gradation, asphalt binder content, pavement thickness, field air void, and IRI (International Roughness Index) were determined. Using the acquired field data, the percent within limit (PWL) values of each AQC were determined. RESULTS : Weight factors were used to consider the effect of each AQC, since field data varies depending on the field condition. The total pay factor (PF) wa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PF material and PF construction. PF material considers the asphalt binder content and the aggregate gradation, while PF construction considers the field air void, pavement thickness, and field IRI. CONCLUSIONS: A pay adjustment factor was established by determining the PWL of each AQC and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pay factor. Based on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PWL is a reasonable and acceptable method for evaluating the pavement quality and determining the pay factor.
        4,0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develop speed correction factor for more realistic Level-of-Service(LOS) at multilane highway. METHODS : In this study, we compared speed difference the degree of speed reductions in actual multilane road conditions with speed reduction considering speed correction factor presented in highway capacity manual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also we presents new speed correction factor analyzing collected data at national highway No.1 (Goyang~Wolrung). RESULTS : The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new suggested speed correction factor with speed correction factor in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KHCM) shows RMSE (Root Mean Square Error) in new speed correction factor (RMSE 1.5) is much lower than existing speed correction factor (RMSE 13.4). New suggested speed correction can be used for analyzing Level-of-Service at multilane highway. And also we suggests improvements for analysis procedure in analyzing Level-of-Service at multilane highway CONCLUSIONS : As a result of comparing differences, we draw the causes that effect the differences in speed and suggest new speed correction factor that consider traffic volumes. It can be more rational because it uses speed correction factor which can consider more realistic traffic conditions, etc.
        4,000원
        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이를 통제하여 타 당하고 신뢰성 있는 강의평가결과를 공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4개 학기 강의평가 결과를 자료로 하여 교수자 특성(전임/강사)과 강좌특 성(이수구분, 강좌규모) 및 학생특성(학년, 소속대학)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결과가 어떻게 다른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과 마찬가지로 교수자 특성과 학생특성, 강 좌특성에 따라 강의평가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강의평가 결과에서 나 타난 잡음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에 기초한 균등화 방법’을 이용하여 사후 조정하였 다. 사후조정 된 점수는 원점수보다 집단 간 차이가 적어 교수업적평가와 같은 총괄적 평가에 적용하는 데 비교적 무리가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리적 해법이 교 육의 질 개선이라는 강의평가의 본래 목표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강의 평가 잡음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강의평가의 목적에 따라 형성적 기능과 행정적 기능으 로 이원화 할 필요성과 형성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5.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이를 통제하여 타 당하고 신뢰성 있는 강의평가결과를 공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4개 학기 강의평가 결과를 자료로 하여 교수자 특성(전임/강사)과 강좌특 성(이수구분, 강좌규모) 및 학생특성(학년, 소속대학)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결과가 어떻게 다른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과 마찬가지로 교수자 특성과 학생특성, 강 좌특성에 따라 강의평가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강의평가 결과에서 나 타난 잡음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에 기초한 균등화 방법’을 이용하여 사후 조정하였 다. 사후조정 된 점수는 원점수보다 집단 간 차이가 적어 교수업적평가와 같은 총괄적 평가에 적용하는 데 비교적 무리가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리적 해법이 교 육의 질 개선이라는 강의평가의 본래 목표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강의 평가 잡음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강의평가의 목적에 따라 형성적 기능과 행정적 기능으 로 이원화 할 필요성과 형성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교량의 하중저항능력인 내하력은 교량의 거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손상, 결함, 재료적인 열화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론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내하력보다 여유가 있다. 그러나 현재 내하력을 구하기위한 재하실험 및 구조해석 과정에서 이미 오차가 포함되어 있어 응답보정계수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센싱 문제와 구조해석 모델의 적정성에 오차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부에서 기존의 전기저항식 변형률, 변위 센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성능이 우수한 스마트 센서인 광섬유 스마트 센서로의 변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구조해석 모델 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적정 모델을 선정함으로서 응답보정계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