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속하는 나무좀은 일찍부터 산림의 주요 해충으로 다루어져 왔다. 최근 사과원에서 M.9 대목을 이용한 사과 밀식재배가 확산되고,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기상으로 사과나무 동해에 의한 2차 나무좀 피해가 늘어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에 발생하는 나무좀류의 발생 양상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약제 선발을 통해 효율적인 방제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사과원에 발생하는 나무좀은 암브로시아나무좀, 오리나무좀, 붉은목나무좀, 사과둥근나무좀 등 4종으로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암브로시아나무좀의 발생은 4월부터 시작하여 연 2회 발생하였다. 주간부에서 나무좀의 피해는 대부분 21~100cm 높이에서 발생하였으며, 야외 방제 시험에서 Phentoate EC, Chlorpyrifos WP, Thiacloprid SC 등이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Recently, ambrosia beetles have become very important pest of 2~5 year old apple trees with M9 dwarf rootstocks in South Korea. The beetles have killed the branches and stems of the young trees, especially, frozen damage trees in winter or drought stressed tree in spring. By the increase in planting area and weaken property in winter of M9 dwarf rootstock, ambrosia beetles are becoming a key pest in Korean apple orchards using M9 rootstock. According to the survey of damaged apple trees by ambrosia beetles, 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Xyleborus apicalis Blandford and Xyleborinus saxeseni (Ratzeburg).
These insects are hosts of the ambrosia fungi. ITS region of rDNA has shown to be a useful source for phylogenetic studies and identifying speices in previous published articles. We analyze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ITS1, 5.8S and ITS2 region of ambrosia fungi isolated from three ambrosia beetles, in order to observe molecular variation among the fungi strains and to reve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1987년 1종의 긴나무좀과 52종의 나무좀이 채집되었다. 그중 Hylurgops Palliatus와 Xyleborus amputatus 2종은 미기록종이었다. 한편 기록뿐인 나무좀들로 몇몇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도 조사기간동안 채집되었으며 미기록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