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명일엽(明日葉)의 부위별 캘러스 유도율을 조사하였고, 배발성(胚發生)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율을 높이고자 에틸렌 작용억제제(作用抑制劑)를 처리한 후, 신초(新梢)의 발생정도 및 소식물체의 길이와 무게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 4-D의 농도를 달리한 MS배지에 명일엽(明日葉)의 소엽(小葉), 소엽병(小葉柄) 및 엽병(葉柄) 절편(切片)을 배양하였을 때 캘러스 유도는 소엽(小葉)에서 잘 되었으며 2, 4-D의 농도는 2.0 ppm에서 제일 좋았다. 2. 배발성(胚發生) 캘러스로부터 신초의 발생정도와 재분화(再分化)된 소식물체(小植物體)의 신초(新梢) 신장(伸長)에는 AgNO3는 2 ppm, CoCl2·6H2O는 10ppm 첨가가 제일 효과적이었으며, AgNO3나 CoCl2·6H2O를 2, 4-D 1 ppm과 혼용처리하면 신초의 발생정도와 신장은 억제되었다. 3. 재분화된 소식물체(小植物體)의 뿌리 신장(伸長)에는 AgNO3는 1 ppm, CoCl2·6H2O는 5 ppm 첨가가 제일 효과적이었는데, AgNO3나 CoCl2·6H2O를 2, 4-D 1 ppm과 혼용처리 하면 뿌리의 발생은 없었다. 4. 재분화된 소식물체(小植物體)의 생체중은 AgNO3나 CoCl2·6H2O를 단용처리한 경우 각각 2 rpm에서, 2, 4-D 1 ppmr과 혼용처리한 경우 AgNO3는 1 ppm 과 CoCl2·6H2O는 2 ppm에서 제일 무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