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DBS 제조사에서는 자사의 일부 제품에 대한 RF power의 제한기준을 B1+rms 2.0 μT 이하로 변경하였다. 이에 brain MRI 영상비교를 통해 새로운 가이드 라인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 질환이 없는 총 5명의 자원자(남자 2명, 여자 3명, 나이 range 19~46세)를 대상으로 T1 SE sagittal, T2 TSE, T1 SE, T2 FLAIR axial로 구성된 Brain MRI routine protocol과 SAR값을 0.1 W/kg 미만으로 조절 된 protocol, B1+rms를 2.0 μT 이하로 조절 된 protocol 등 3개의 protocol을 사용하여 1.5T에서 brain MRI(Siemens avanto, head matrix A Tim coil, Germany)를 시행하였다. 획득된 영상 중 axial영상에서 전두엽 피질(cortex)의 백질(white matter), 회백질(gray matter)과 중심회질(central gray matter)의 조가비핵(putamen), 시상(thalamus)에서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SNR과 백질과 회백질간 CNR을 계산하여 영상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정성적 영상평가는 해부학적 묘사력을 기준으로 routine protocol의 영상과 비교하여 RMS, SAR protocol 각각의 영상에 대해 3단계(I: 열등, E: 동등, S: 우월)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Medcalc(version 16.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검정하였다. 결 과 : 전두엽 피질의 백질과 회백질간 CNR은 T2, T1 axial에서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FLAIR axial에서는 routine 영상(10.0±0.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4). 백질과 중심 회질간 CNR은 조가비핵의 경우 T2, T1, FLAIR axial에서 모두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시상은 T2 axial에서 3개의 protocol간 차이가 없었으나(p=0.16), FLAIR axial에서는 routine영상(7.9±0.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03), T1영상에서는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09). 정성적 평가에서는 routine영상에 비해 SAR영상은 모든 sequence에서 ‘열등’으로 평가되었으나, RMS영상은 두 명의 FLAIR영상과 한 명의 T2영상에서만 ‘열등’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는 모두 ‘동등’ 판정을 받았다. 결 론 : RMS protocol 영상은 백질, 회백질간 CNR과 해부학적 구조의 묘사력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SAR 영상보다 모든 sequence에서 우수하였고, routine 영상과는 T2, T1 sequence에서 동등하였다. DBS 환자에 대해 RF power를 B1+rms 2.0 μT 이하로 제한하는 제조사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기존의 SAR 기준에 비해 영상의 질향상, scan time 감소, scan parameter 조절 용이성 등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