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뇌심부 자극기의 폐전극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 대해 MRI검사가 이뤄질 경우 열발생으로 인한 위험성에 노출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MRI로 인한 DBS 폐전극에서의 열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5 T MRI(Avanto, Siemens, Germany)장치와 광섬유 온도계(FTX-301-PWR 3chTemperature Transmitter, OSENSA, Canada)를 사용하였다. 미국 재료시험협회 표준측정방법을 이용한 열발생 측 정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겔용액을 자체제작 한 팬텀내부에 채운 후 전극의 말단과 주변부의 온도를 15분간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임상조건에서의 열발생 측정은 Brain, C-spine, L-spin의 Routine protocol과 B1+rms 2.0 uT이하의 Low RF protocol을 이용하여 전극 말단과 주변부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표준측정방법에서 온도발생은 전극말단 0.8 ℃, 주변부 0.2 ℃롤 나타났다. Brain, C-spine, L-spine 의 임상조건 중 Routine protocol에서의 온도증가는 전극말단에서 각각 1.7, 1.4, 0.7 ℃, 주변부는 각 각 0.3, 0.3, 0.1 ℃로 나타났으며, Low RF protocol에서의 온도 증가는 전극말단에서 각각 0.4, 0.3, 0.1 ℃, 주변부의 0.2, 0.4, 0.2 ℃로 나타났다. 결 론:뇌심부 자극기의 폐전극 말단에서의 MRI로 인한 온도발생은 Low RF protocol에서는 0.4 ℃ 이하였으 나 주변부의 온도발생과 비교하여 전극에서의 온도발생 현상은 확인 할 수 없었다.
        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MRI의 RF에 의한 맥박 산소측정기 센서의 열발생으로 인해 환자에게 화상이 발생한 사례가 다수 보고되 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사용 되는 MRI 시퀀스에서의 열 발생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3.0 T MRI(Ingenia, Philips, Netherlands)장치와 광섬유 온도계(FTX-301-PWR 3ch Temperature transmitter, OSENSA, Canada),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겔 용액을 넣은 팬텀을 사용하였다. 위치 변화에 따른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중앙부와 좌측 외측부에 설치한 후 세 부위의 isocenter에서 SAR 3.2 W/kg으로 15분간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임상 조건 에서의 온도측정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환자의 왼손 위치인 팬텀 좌하측 측면에 고정하고, Brain, C-spine, L-spine의 임상조건으로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맥박 산소측정기의 위치에 따른 실험 중 정중앙 위치에서는 isocenter 1, 2, 3에서 각각 1.6, 2.7, 1.2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고, 좌측 외측부 위치에서는 각각 10.8, 9.9, 9.9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다. 임상조건에서는 Brain, C-spine, L-spine 스캔에서 각각 10.3, 6.3, 3.9 ℃의 온도상승이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MRI의 RF로 인한 맥박 산소측정기의 발열현상과 이로 인한 접촉 부위의 화상발생 가능 성을 직접적인 온도측정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뇌심부 자극기의 폐전극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 대해 MRI검사가 이뤄질 경우 열발생으로 인한 위험성에 노출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MRI로 인한 DBS 폐전극에서의 열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5 T MRI(Avanto, Siemens, Germany)장치와 광섬유 온도계(FTX-301-PWR 3ch Temperature Transmitter, OSENSA, Canada)를 사용하였다. 미국 재료시험협회 표준측정방법을 이용한 열발생 측정은 하이드록시에 틸 셀룰로즈와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겔용액을 자체제작 한 팬텀내부에 채운 후 전극의 말단과 주변부의 온도를 15분간 스캔 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임상조건에서의 열발생 측정은 Brain, C-spine, L-spin의 Routine protocol과 B1+rms 2.0 uT이하의 Low RF protocol을 이용하여 전극말단과 주변부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표준측정방법에서 온도발생은 전극말단 0.8 ℃, 주변부 0.2 ℃로 나타났다. Brain, C-spine, L-spine의 임상조건 중 Routine protocol에서의 온도증가는 전극말단에서 각각 1.7, 1.4, 0.7 ℃, 주변부는 각각 0.3, 0.3, 0.1 ℃로 나타났으 며, Low RF protocol에서의 온도 증가는 전극말단에서 각각 0.4, 0.3, 0.1 ℃, 주변부의 0.2, 0.4, 0.2 ℃로 나타났다. 결 론:뇌심부 자극기의 폐전극 말단에서의 MRI로 인한 온도발생은 Low RF protocol에서는 0.4 ℃ 이하였으나 주변부의 온도발생과 비교하여 전극에서의 온도발생 현상은 확인 할 수 없었다.
        4,000원
        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MRI의 RF에 의한 맥박 산소측정기 센서의 열발생으로 인해 환자에게 화상이 발생한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사용 되는 MRI 시퀀스에서의 열 발생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3.0 T MRI(Ingenia, Philips, Netherlands)장치와 광섬유 온도계(FTX-301-PWR 3ch Temperature transmitter, OSENSA, Canada),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겔용액을 넣은 팬텀을 사용하였다. 위치 변화에 따른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중앙부와 좌측 외측부에 설치한 후 세 부위의 isocenter에서 SAR 3.2 W/kg으로 15분간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임상 조건에서의 온도측정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환자의 왼손 위치인 팬텀 좌하측 측면에 고정하고, Brain, C-spine, L-spine의 임상조건으로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맥박 산소측정기의 위치에 따른 실험 중 정중앙 위치에서는 isocenter 1, 2, 3에서 각각 1.6, 2.7, 1.2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고, 좌측 외측부 위치에서는 각각 10.8, 9.9, 9.9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다. 임상조건에서는 Brain, C-spine, L-spine 스캔에서 각각 10.3, 6.3, 3.9 ℃의 온도상승이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MRI의 RF로 인한 맥박 산소측정기의 발열현상과 이로 인한 접촉 부위의 화상발생 가능성을 직접적인 온도측정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days, contents is not only exists as one genre, but also repeatedly develop to other genre by affect or fusion and developing another contents. This means entertainment industry enters overall OSMU(One Source Multi Use) age. With development of the CG technology filming of the game is actively progressing. Like “Tomb Raider”,“Resident evil”, There is some successful filming of the game case. In other side, there is many fail case of filming of the game also exist. In this paper we study game element analysis by method of film element analysis for making interactive movie of the game. For this study we using the actantial model of Algirdas Julien Greimas and the five element of film of Linda Seger. With two method, we study modeling interactive movie event flow, to be helpful for film development and possibility suggest through this study result.
        4,000원
        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피적 방사선 위루술(percutaneous radiologic gastrotomy, PRG)에서 위고정(gastropexy)을 위해 사용되는 T-fastener에 대해 자기장에 의한 수평인력, 회전력을 표준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돼지고기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사용되었을 때의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T-fastener는 Cope(Cook, Bloomington, USA)와 Saf-T-Pexy(Kimberly-Clark, Roswell, USA)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길이는 각각 21 mm, 10 mm이다. MRI장치는 1.5 T(Avanto MRI, Siemens, Germany)와 3.0 T(Ingeni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을 사용하였다. T-fastener에 대한 자기유도 수평인력은 주자장이 가장 큰 지점인 96cm지점에 측정장치를 위치하여 최대 변위각을 3회씩 측정하였고, 회전력은 원형용기 내부의 45°간격의 실선 위에 놓았 을 때 나타난 회전형태를 정성적 평가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돼지고기 삽겹살에 T-fastener를 설치하여 본원의 복부 MRI sequence로 1.5 T와 3.0 T에서 scan 후 움직임 또는 회전상태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자기유도 수평인력의 측정결과 변위각의 평균값은 Cope 제품의 경우 1.5 T와 3.0 T에서 각각 139.3°, 145.8°로 나타났고, Saf-T-pexy제품은 각각 131.3°, 141.7°로 나타났다. 자기유도 회전력의 평가결과 회전력은 두 제품 모두 1.5 T와 3.0 T에서 +4 (very strong torque), 즉 주자장에 대해 매우 빠르게 정렬되었다. 돼지고기 모델에서 1.5 T와 3.0 T에서 Scan 후 움직임 또는 회전상태는 scan 전과 후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는 T-fastener에 대한 1.5 T와 3.0 T에서의 MR 안전성을 수평인력과 회전력을 통해 평가했으며, 두 제품 모두 변위각 130° 이상, 회전력 +4 이상 나타났다. 하지만 돼지고기 모델을 이용한 시험에서 충분한 유지력이 평가되어 MR환경에 사용되어도 환자안전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선천성 심장기형 중 하나인 Ebstein anomaly 환자는 aRv (Atrialized right ventricle)과 fRv (Functional right ventricle)의 용적 비율이 수술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 (Tricuspid valve) CINE 시퀀스를 이용하여 우심실 용적 측정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0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Ebstein anomaly를 진단받은 18명 (남 8명, 평균 연령 30.4±18.7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사용장비는 1.5T MRI (Avanto scanner, Siemens, Erlangen, Germany)와 32-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프로토콜은 iPAT SSFP cine (Slice thickness 6mm; gap 4mm; TR/TE = 3.09/1.31ms; 72° flip angle; accelerated factor 2) 시퀀스를 사용하여 기존의 SA (short axis) CINE 영상과 우심실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TV CINE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2명의 측정자가 Argus program (Siemens medical system, Erlangen, Germany)을 이용해 aRv과 fRv의 enddiastolic volume(EDV)와 end-systolic volume(ESV)을 측정했다. 통계적 분석을 실시해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TV CINE의 측정치 ( aRv EDV(125.3ml) & ESV(72.5ml); fRv EDV(85.1ml) & ESV(38.4ml)) 는 기존의 SA CINE의 측정치 ( aRv EDV(137.8ml) & ESV(80.3ml); fRv EDV(74.3ml) & ESV(29.3ml)) 보다 aRv는 작고 fRv는 큰 경향을 보인다. 우심실의 전체적인 크기는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두 관찰자 간의 측정치(TV CINE : ICC > 0.97, SA CINE : ICC < 0.85)는 TV CINE에 비해 SA CINE에서 일치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TV CINE 영상은 aRv와 fRv의 용적 구분을 용이하게 한다. 더 나아가 Tricuspid valve의 정확한 위치 파악에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DBS 제조사에서는 자사의 일부 제품에 대한 RF power의 제한기준을 B1+rms 2.0 μT 이하로 변경하였다. 이에 brain MRI 영상비교를 통해 새로운 가이드 라인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 질환이 없는 총 5명의 자원자(남자 2명, 여자 3명, 나이 range 19~46세)를 대상으로 T1 SE sagittal, T2 TSE, T1 SE, T2 FLAIR axial로 구성된 Brain MRI routine protocol과 SAR값을 0.1 W/kg 미만으로 조절 된 protocol, B1+rms를 2.0 μT 이하로 조절 된 protocol 등 3개의 protocol을 사용하여 1.5T에서 brain MRI(Siemens avanto, head matrix A Tim coil, Germany)를 시행하였다. 획득된 영상 중 axial영상에서 전두엽 피질(cortex)의 백질(white matter), 회백질(gray matter)과 중심회질(central gray matter)의 조가비핵(putamen), 시상(thalamus)에서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SNR과 백질과 회백질간 CNR을 계산하여 영상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정성적 영상평가는 해부학적 묘사력을 기준으로 routine protocol의 영상과 비교하여 RMS, SAR protocol 각각의 영상에 대해 3단계(I: 열등, E: 동등, S: 우월)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Medcalc(version 16.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검정하였다. 결 과 : 전두엽 피질의 백질과 회백질간 CNR은 T2, T1 axial에서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FLAIR axial에서는 routine 영상(10.0±0.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4). 백질과 중심 회질간 CNR은 조가비핵의 경우 T2, T1, FLAIR axial에서 모두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시상은 T2 axial에서 3개의 protocol간 차이가 없었으나(p=0.16), FLAIR axial에서는 routine영상(7.9±0.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03), T1영상에서는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09). 정성적 평가에서는 routine영상에 비해 SAR영상은 모든 sequence에서 ‘열등’으로 평가되었으나, RMS영상은 두 명의 FLAIR영상과 한 명의 T2영상에서만 ‘열등’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는 모두 ‘동등’ 판정을 받았다. 결 론 : RMS protocol 영상은 백질, 회백질간 CNR과 해부학적 구조의 묘사력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SAR 영상보다 모든 sequence에서 우수하였고, routine 영상과는 T2, T1 sequence에서 동등하였다. DBS 환자에 대해 RF power를 B1+rms 2.0 μT 이하로 제한하는 제조사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기존의 SAR 기준에 비해 영상의 질향상, scan time 감소, scan parameter 조절 용이성 등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비후성심근증 환자군에서 TI scout과 MOLLI(modified Look-Locker Inversion recovery) 시퀀스를 이용하여 심근의 T1 값을 비교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50명의 비후성심근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 MRI(1.5T, Avanto scanner,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시행하였다. 좌심실의 중앙에서 SA 단면으로 조영제 주입 전과 후에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평균 10분에 TI scout(SL 8mm, Turbo factor 22-46)을 획득하고, 평균 13.5분에 MOLLI(SL 8mm, GRAPPA factor 2, 11 heart beats(4+3+2))시퀀스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은 두명의 측정자가 Argus (Siemens medical system, Erlangen, Germany)을 이용하여 6개의 구역에 ROI를 설정하여 T1 값을 획득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는 paired t-test(SPSS, ver18.0K)를 이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고, Bland-Altman(MedCalc, ver14.12.0)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TI scout과 MOLLI는 시간에 따른 보정을 하기 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I scout=233.7msec, MOLLI=245.6msec, p<0.001). 그러나 획득 시간에 따른 보정 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MOLLI=230msec, p=0.17). 두 방법으로 획득한 T1 값은 Bland-Altman 그래프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관찰자 간의 상관계수는 0.97이상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 론 : MOLLI를 이용한 T1 값은 TI scout과 상응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MOLLI는 심근의 섬유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1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지방소거 영상의 금속 인공물을 비교하여 mDixon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임상에 적용하여 인공물을 줄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면적 10 cm×10 cm, 두께 약 3~4 cm인 돼지고기에 수술접합용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두께 1 mm인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이플을 삽입하였다. Ingenia 3.0T(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 FlexCoverage Posterior coil(32 channels)을 사용하여 SPIR, SPAIR, mDixon 영상을 얻었다. 스테이플의 간격을 5 mm와 10 mm로, 두께를 1 mm와 5 mm로 다르게 하여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 영상을 각 5회씩 획득하였다. 장비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금속 인공물의 윤곽선을 따라 그려 면적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결 과 : mDixon 기법을 사용한 지방소거 영상에서 시상면 34.6 mm²(p<0.01), 관상면 67.6 mm²(p<0.01), 횡단면 51.8 mm²(p<0.01)으로 금속 인공물의 크기가 가장 작았다. 스테이플의 간격이 좁을 때에도 mDixon 기법이 시상면 12.2 mm²(p<0.01), 관상면 58 mm²(p<0.02), 횡단면 40.2 mm²(p<0.01)으로 가장 적게 왜곡되었고, 스테이플의 두께를 두껍게 했을 때 시상면 14 mm²(p<0.01), 관상면 84.8 mm²(p<0.01), 횡단면 24.8 mm²(p<0.01)으로 역시 mDixon 기법으로 얻은 영상의 금속 인공물이 가장 작았다. 결 론 : 지방소거법에 따라 인공물의 크기가 달라졌다. mDixon 기법은 기존의 SPIR, SPAIR 기법보다 금속물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특히 스테이플이 두꺼울 때 횡단면 영상에서, 다른 기법에 비해 각각 40%, 52%로 인공물의 크기가 줄었다. 실제 임상에서 금속물을 체내에 삽입한 환자의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지방소거 영상이 필요한 경우, mDixon 기법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수술 전 종양의 위치 확인, 뇌종양 수술의 성과 및 계획을 향상시키기 위해 Neuronavigation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 시행되는 Navigation MRI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기존의 2D Axial(이하 AXL) 영상을 보완한 3D Sagittal(이하 SAG) 영상을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뇌종양 제거 수술을 위해 본원에 입원한 환자 중 수술 전 Navigation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장비는 3.0T MRI System(Intera 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 신호수집코일은 32Channel SENSE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Parameter는 기존의 2D T1 AXL은 FOV 240mm, TR/TE 514ms/10ms, Matrix 256×256, Thickness/gap 2mm/0mm, NSA 1, Scan time 11m 5s이고, 2D T2 FLAIR AXL은 FOV 240mm, TR/TI/TE 11000ms/2800ms/125ms, Matrix 256×256, Thickness/gap 2mm/0mm, NSA 1, Scan time 8m 15s이다. 그리고 새롭게 적용된 3D T1 SAG은 FOV 240mm, TR/TE 9.8ms/4.6ms, Matrix 240×240, NSA 1, Scan time 6m 17s이고, 3D T2 FLAIR SAG은 FOV 240mm, TR/TI/TE 4800ms/1650ms/340ms, Matrix 256×256, NSA 2, Scan time 6m 9s이다. 각각의 3D SAG 영상은 AXL(1mm/No gap)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평가 방법은 조영제 주입 전 2D T2 FLAIR AXL 영상과 3D FLAIR SAG 영상을 얻고, 조영제 주입 후 2D T1 AXL 영상과 3D T1 SAG 영상을 획득하여 각 AXL 영상의 SNR과 CNR을 비교하였다. 또한 정성적 분석을 위해 신경외과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5명이 각 영상의 평가항목(1.해상도 2.대조도 3.Artifact 감소 4.병변의 경계부위 묘사 5.병변의 명확도 6.조영증강 효과)에 대해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2D AXL 영상을 3점 기준으로 3D AXL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Ver.2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 결과 2D T2 FLAIR AXL 영상의 평균 SNR은 62.5, 3D T2 FLAIR AXL 영상은 191.7로 3D기법이 약 3.1배 높았고, 2D T1 AXL CE 영상의 평균 SNR은 62.9, 3D T1 AXL CE 영상은 144.5로 3D 기법이 약 2.3배 높았다. 또한 3D T2 FLAIR AXL 영상의 평균 CNR은 211.1로 2D AXL 영상의 62.0에 비해 약 3.4배 높았고, 3D T1 AXL CE 영상의 평균 CNR도 101.4로 2D AXL CE 영상의 53.9에 비해 약 1.9배 높았다. 그리고 2D AXL 영상을 3점 기준으로 비교 평가한 정성적 분석 결과는 3D FLAIR AXL 영상의 평균값이 3.88(±1.00), 3D T1 AXL CE 영상의 평균값은 4.57(±0.73)점으로 나타났다.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 결과값은 paired t-test 통계 분석 결과 각각의 평가 항목에서 모두 p<0.05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 론 : 기존의 2D AXL 영상보다 3D SAG 영상을 획득하여 AXL로 재구성한 영상이 SNR과 CNR 모두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정성적 분석 결과 또한 3D 기법을 적용한 영상이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리고 종양의 위치에 따라 COR 영상이 필요할 경우가 있는데, 3D 영상을 획득하면 AXL 영상뿐만 아니라 COR 영상까지 추가적인 스캔 없이 재구성할 수 있어 더 효율적이었다.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더 나은 영상을 더 빠른 시간 안에 획득할 수 있어 실용적이고, 이는 환자의 Motion Artifact 발생 가능성도 줄일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2D AXL 영상은 2mm 두께로 영상을 획득하지만 3D 영상은 1mm로 재구성할 수 있어 종양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장점은 수술 전 Navigation MRI 검사를 통해 수술 부위를 판단하는 의료진의 입장에서 더 나은 수술 결과를 도출 할 수 있고 나아가 결국 의료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1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이번 연구는 본 의료기관에서 개발하여 적용된 인공장치가 삽입된 환자에 대한 MRI처방 제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및 인공장치에 대한 MR적합성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체내 인공장치가 삽입 된 환자에 대한 MRI처방 제어프로그램은 의사의 MRI처방 발생단계와 부서예약단계 그리고 검사실 예약 및 접수의 세가지 단계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MR적합성 데이터베이스는 인공와우(cochlear implant), 심장박동기(Pacemaker), 신경자극기(Deep Brain Stimulator, DBS) 미주신경자극기(Vagus Nerve Stimulator), Programmable Valve, 유방조직확장기(breast tissue expander), 이식형 심실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심장재동기(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척수신경자극기(Spinal Cord Stimulator) 등의 9종류의 장치에 대해 ASTM의 기준에 따라 MR safe, conditional, unsafe로 분류했다. 결 과 : 전산 제어프로그램의 적용으로 MRI검사를 시행할 수 없거나 제한 된 조건에서만 시행이 가능한 검사금기·주의 장치가 삽입 된 환자에 대한 MRI검사에 대해 처방 발생 전에 제어하고, 처방이 발생되더라도 MRI검사실에서 예약조절을 통해 유관부서 또는 제조사와의 업무협조를 가능하게 되었고, 환자와 병원에 가장 중요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R적합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9종류 약 166개 장치에 대한 MR적합성을 분류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체내 인공삽입 장치가 있는 환자에 대한 MR처방 제한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으로 인해 검사금기장치에 대한 처방발생을 방지하고 검사주의장치에 대한 안전한 MRI 검사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체내 삽입장치 9개 종류 166개 장치에 대한 MR적합성 분류를 통해 국내 의료기관에 MR안전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4,300원
        1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소아 척추 MRI 검사 시 빠른 심박동수와 호흡으로 인해 위상부호화 방향으로 인공물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조영증강 후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IBE(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기법을 기존의 T1 weighted TSE(turbo spin echo) 기법과 비교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척추 MRI 검사를 시행한 소아환자 30명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는 9세에서 18세까지이며, 평균 연령 13.4세였다. 사용 장비로는 3.0T MRI(magnetom skyra, SIEMENS, Germany)로 하였고, 32ch spine coil과 20ch head &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SE 기법과 VIBE 기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흉추 MRI 영상을 영상의학과 소아판독 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질을 비교 평가 하였다. 평가항목(1: bone cortex & marrow의 선예도, 2: 뇌척수액과 척수의 묘사, 3: 움직임과 호흡에 의한 인공물 감소, 4: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 5: 조영 증강의 효과)에 대해 리커트(Likert) 5point scale로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는 척추신경에 대한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SPSS 22.0 사용한 paired t-test로 통계적 유의성(p<0.05)을 검증하였다. 결 과 : 5명의 평가자가 TSE 기법과 VIBE 기법을 평가한 결과 영상평가 1번 항목에서 평균값이 각각 3.10(±0.12)점, 3.80(±0.31)점, 2번 항목에서 3.03(±0.56)점, 4.25(±0.35)점, 3번 항목에서 3.20(±0.62)점, 3.75(± 0.51)점, 4번 항목에서 3.13(±0.58)점, 3.88(±0.68)점, 5번 항목에서 3.68(±0.43)점, 3.35(±0.47)점으로 나타났다. 척수와 척수액의 평균 CNR은 TSE 기법이 3.91, VIBE 기법 5.71으로 1.02~2.29배(평균:1.46배) 높게 측정되어 VIBE 기법이 TSE 기법보다 CNR이 좋음을 알 수 있었고, paired t-test 통계분석 결과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모두 p<0.05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척추 질환의 초기 진단에 있어서 TSE 기법과 VIBE 기법의 영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VIBE 기법에서 움직임 및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가 우수하였으며, 척수와 척수액의 CNR이 평균 1.46배 차이를 보임으로써 VIBE 기법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소아 환자는 성인에 비하여 뇌신경계 병변을 초기에 발견하여 진단적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VIBE 기법이 척추 질환 진단의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앞으로 소아 척추 질환 진단 시 VIBE 기법이 진단적 가치를 높이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