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microbials in human medicine are classifi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o three groups: crit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s (CIA), highly important antimicrobials (HIA), and important antimicrobials (IA). CIA are antibiotic classes that satisfy two main criteria: that they are the sole or the only available limited therapeutic option to effectively treat severe bacterial infections in humans (Criterion 1), and infections where bacteria are transmitted to humans from non-human sources or have the potential to acquire resistance genes from non-human sources (Criterion 2). WHO emphasizes the need for cautious and responsible use of the CIA to mitigate risk and safeguard human health. Specific antimicrobials within the CIA with a high priority for management are reclassified as “highest priority crit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s (HP-CIA)” and include the 3rd generation of cephalosporins and the next generation of macrolides, quinolones, glycopeptides, and polymyxins. The CIA list is the scientific basis for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policies that warrant using antimicrobials to reduc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several countries. In addition, the CIA list ensures food safety in the food industry, including for the popular food chain companies McDonald's and KFC. The continuous update of the CIA list reflects the advancement in research and emerging future challenges. Thus, active and deliberat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he construction of a list that reflects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a country are essential to safeguarding food security.
Umami taste-yielding foods, such as, Joseonganjang, dried anchovies, dried shiitake, dried Konbu (kelp), and Yukjeot, are widely used in the Korean cuisine as soup base. While Umami taste enhancement related to Kokumi taste substances has been proposed in human sensory studies, the potential action of Kokumi taste substances has not been explored on calcium-sensing receptors (CaSR), here referred to as Kokumi taste recept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Umami taste-yielding foods on Kokumi taste receptors using cells expressing human CaSR. We monitored the temporal changes in intracellular Ca2+ in HEK293T cells expressing CaSR in response to aqueous extract of Joseonganjang, dried anchovies, dried shiitake, dried Konbu, and Yukjeot. Kokumi substances tested-glutathione and γ-Glu-Val-Gly- evoked intracellular Ca2+ influx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 similar increment of intracellular Ca2+ influx was induced by Joseonganjang, Yukjeot, and dried anchovies, but not by dried shiitake and dried Konbu. Only Joseonganjang- and Yukjeot-evoked intracellular Ca2+ influx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NPS 2143, a CaSR-specific antagonist. These data indicated that some Umami substances/Umami-yielding materials could activate CaSR, but this property was not observed for all the Umami tasting substanc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of Korean native black goat (n = 58), compared with the exotic breed, Boer (n = 97). For the analysis of genetic characterization 11 microsatellite markers (MAF065, INRA063, CSRD247, OarFCB20, SRCRSP5, INRA006, ILSTS008, ILSTS011, INRA005, ILSTS087, SRCRSP8) were genotyped. The number of alleles was observed 3 (INRA005) to 10 (SRCRSP8) each markers. The mean expected and observed heterozygosity (Hexp and Hobs)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for the Korean native black goat breed varied from 0.551 to 0.860, 0.517 to 0.948 and 0.464 to 0.835, respectivel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oA) and FCA results showed that Korean native black goat breed was confirmed to be clearly separated from bore breed. These results were scientific evidence that Korean native black goat represents a unique and valuable animal genetic resour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lanching time (1-5 min), types of blanching solution (1% NaCl vs 1-3% sucrose), addition of packaging with blanching solution, and thawing methods (thawing in packaged versus depackaged units) on the qualities of frozen Aster scaber. As quality parameters, drip loss, moisture content, shear force, color, and sensory test were conducted. Aster scaber was blanched in 1% sucrose for 4 min and packaged with the same solution prior to freezing whereas frozen Aster scaber exhibited palatable quality when it was removed from the package and thawed in running water. Consequent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optimized processing condition provided qualities like non-frozen contro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sprout, radish, and pork loin during frozen Bibimbab production. The qualities of soybean sprout were affected by the blanching, thawing, and cooking processes, with the blanching process particularly regarded as an important process to attribute the overall quality of the soybean sprouts in the final product. High weight loss of radish was found in the thawing and cooking processes, while the weight loss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soybean sprout. However, mixing with hot rice can be attributed for the steep decrease in shear force of the radish. For pork meat, normally thermal treatment such as mixing with hot rice and cooking manifested quality deterioration. Based on the results, mixing process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rocess which affected the final quality of the materi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final frozen Bibimbab,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o freeze the food ingredient separately from rice prior to packaging, which warranted the follow up exploration.
목 적 : 선천성 심장기형 중 하나인 Ebstein anomaly 환자는 aRv (Atrialized right ventricle)과 fRv (Functional right ventricle)의 용적 비율이 수술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 (Tricuspid valve) CINE 시퀀스를 이용하여 우심실 용적 측정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0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Ebstein anomaly를 진단받은 18명 (남 8명, 평균 연령 30.4±18.7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사용장비는 1.5T MRI (Avanto scanner, Siemens, Erlangen, Germany)와 32-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프로토콜은 iPAT SSFP cine (Slice thickness 6mm; gap 4mm; TR/TE = 3.09/1.31ms; 72° flip angle; accelerated factor 2) 시퀀스를 사용하여 기존의 SA (short axis) CINE 영상과 우심실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TV CINE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2명의 측정자가 Argus program (Siemens medical system, Erlangen, Germany)을 이용해 aRv과 fRv의 enddiastolic volume(EDV)와 end-systolic volume(ESV)을 측정했다. 통계적 분석을 실시해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TV CINE의 측정치 ( aRv EDV(125.3ml) & ESV(72.5ml); fRv EDV(85.1ml) & ESV(38.4ml)) 는 기존의 SA CINE의 측정치 ( aRv EDV(137.8ml) & ESV(80.3ml); fRv EDV(74.3ml) & ESV(29.3ml)) 보다 aRv는 작고 fRv는 큰 경향을 보인다. 우심실의 전체적인 크기는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두 관찰자 간의 측정치(TV CINE : ICC > 0.97, SA CINE : ICC < 0.85)는 TV CINE에 비해 SA CINE에서 일치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TV CINE 영상은 aRv와 fRv의 용적 구분을 용이하게 한다. 더 나아가 Tricuspid valve의 정확한 위치 파악에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냉동 무의 품질 향상 및 보존을 위한 냉동 및 전처리 조건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무 를 3 cm 정방형으로 세절한 뒤 자연대류 냉동, 과냉각 후 냉동, 알긴산 침지 냉동, 알긴산 코팅 냉동을 실시하였다. 과냉각 후 냉동 처리는 무를 항온 저온 수조에서 느리게 냉각시켜 빙핵 형성이 야기된 이후 냉동고로 옮겨 후냉동을 실시하였다. 알긴산 침지 냉동은 1% sodium alginate 수용액에 무를 침지 시킨 후 즉시 냉동처리를 실시하였고, 알긴산 코팅 냉동은 1% sodium alginate 수용액에 무를 약 1분간 표면에 코팅 한 후 냉동하였다. 모든 냉동 처리구는 -18°C 자연 대류식 냉동고에서 실시하였다. 해동은 유수해동 (20°C)으로 진행하였다. 알긴산 침지냉동과 알긴산 코팅 냉동 처리구는 해동감량, 전단력 측면에서 모두 자연대류 냉동 처리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단력의 경우, 자연 대류 냉동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증가된 결과를 보였으나 알긴산 침지 및 코팅 처리구는 대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 내었다. 또한 해동감량 역시 자연대류냉동 처리구가 알긴산 침지 및 코팅냉동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 는 냉동 및 해동 과정에서 조직이 파괴되어 야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긴산 처리구 간의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침 지 냉동 처리구가 코팅 냉동 처리구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sodium alginate를 통한 전처 리가 냉동 무의 품질유지에 영향을 끼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최적 조건으로는 1% Sodium alginate 수용액 침지냉 동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sodium alginate 처리는 냉동농산물의 전처리 방법으로서 품질유지 및 향상에 기여할 것으 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분말 섭취가 유산소성 운동훈련(트레드밀 달리기)의 병행 유무에 의해 ICR 생쥐의 에 너지 대사를 증가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8 마리의 ICR 생쥐를 보통식 대조군(CON), 보통식 대조군 으로서 운동훈련 병행군(COEX), 벼메뚜기 분말이 혼합된 사료 섭취군(GH), 그리고 벼메뚜기 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섭취함과 동시에 운동훈련 을 병행군(GHEX)으로 구분하였다. 벼메뚜기 분말 사료섭취 및 운동은 6주간 진행하였다. 체중증가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지방량은 GH와 GHEX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와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수준은 처치 집단간 변화가 없었다. 제2형 당수송체 및 제4형 당수송체는 처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HEX의 fibronectin type III domain-containing protein 5 단백질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 단백질 수준은 GHEX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단백질 발현량은 GHEX가 CON과 비교할 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벼메뚜기 분말을 섭취하면서 지구성 운동훈련을 하는 경우에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식용곤충은 대체 식량자원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 유무에 따른 저항성운동 훈련(등장성 수축)이 ICR 마우스의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마우스 28마리를 대조군(CON), 저항성운동 훈련군(EX),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군(SP), 누에나방 번데기분말 섭취 저항성운동 훈련군(SPEX)으로 그룹 당 각각 7마리씩 분류하였다. 체중증가율은 EX와 SPEX가 CON과 SP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혈중 총 단백질 농도는 SPEX가 다른 그룹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알부민 농도 변화는 운동훈련 병행 시에만 증가하였다. 혈액 GOT와 GPT 수준은 유의차가 없었다. Akt와 Gsk-3β의 단백질 발현의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번데 기 분말 섭취 시 Akt 증가 및 Gsk-3β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 비복근 근육 양은 저항성 운동 훈련을 하였을 때만 증가하였다. 그리고 또한, 번데 기 분말 섭취 시 근육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항성 운동훈련과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는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 적 : 비후성심근증 환자군에서 TI scout과 MOLLI(modified Look-Locker Inversion recovery) 시퀀스를 이용하여 심근의 T1 값을 비교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50명의 비후성심근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 MRI(1.5T, Avanto scanner,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시행하였다. 좌심실의 중앙에서 SA 단면으로 조영제 주입 전과 후에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평균 10분에 TI scout(SL 8mm, Turbo factor 22-46)을 획득하고, 평균 13.5분에 MOLLI(SL 8mm, GRAPPA factor 2, 11 heart beats(4+3+2))시퀀스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은 두명의 측정자가 Argus (Siemens medical system, Erlangen, Germany)을 이용하여 6개의 구역에 ROI를 설정하여 T1 값을 획득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는 paired t-test(SPSS, ver18.0K)를 이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고, Bland-Altman(MedCalc, ver14.12.0)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TI scout과 MOLLI는 시간에 따른 보정을 하기 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I scout=233.7msec, MOLLI=245.6msec, p<0.001). 그러나 획득 시간에 따른 보정 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MOLLI=230msec, p=0.17). 두 방법으로 획득한 T1 값은 Bland-Altman 그래프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관찰자 간의 상관계수는 0.97이상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 론 : MOLLI를 이용한 T1 값은 TI scout과 상응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MOLLI는 심근의 섬유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식용곤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북 문경지역에서 2013년도에 채취한 벼메뚜기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백서에게 섭취시켰을 때 나타나는 혈중 지질 성분의 개선효과를 검토하였다. 동시에 지구성 운동을 부하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분석하였다. ICR 마우스 28마리를 네 집단으로 구 분하였다. 집단은 대조군(CON), 운동군(EX), 메뚜기 섭취군(GH), 메뚜기 섭취 + 운동 병행군(GHEX)으로서 7마리씩 구분하였다. 총 섭취 및 운동기간은 6주였으 며, 메뚜기 분말은 사료 중 카제인과 1:1로 치환하여 공급하였다. 분석은 중량, 지방 량, 그리고 혈중 지질성분으로서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그리고 중성지방(TG)으로 하였다. 사육 종료 후 체중 증가량은 집단 구분의 순서대로 10.32 g, 9.25 g, 13.90 g, 11.60 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저장 지방량은 0.60 g, 0.37 g, 0.39 g, 0.31 g으로 각각 나타 났다. TC는 CON에 비하여 EX 2.93%, GH –8.50%, GHEX –19.06%의 변화가 나 타났으며, HDL-C는 CON에 비하여 EX 50.72%, GH 46.85%, GHEX 54.96%의 변화가 나타났다. LDL-C는 CON에 비하여 EX –27.95%, GH –53.81%, GHEX – 69.16%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TG는 CON에 비하여 EX –15.86%, GH –-6.82%, GHEX –42.62%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벼메뚜기 섭취 혹은 운동 과 병행하며 섭취하였을 때 혈중 지질성분을 개선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는, 메뚜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에 의한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팀은 누에 번데기 섭취에 의한 근육량 증가를 보고한 바 있다. 지속 연구 로서 경북 영덕군에서 생산된 누에번데기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백서에게 섭취시켰을 때 나타나는 혈중 지질 성분의 개선효과를 저항성 운동을 부하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와 함께 분석하였다. ICR 마우스 28마리를 네 집단으로 구분 하였다. 집단은 대조군(CON), 운동군(EX), 메뚜기 섭취군(SP), 메뚜기 섭취 + 운 동 병행군(SPEX)으로서 7마리씩 구분하였다. 총 섭취 및 운동기간은 8주였으며, 번데기 분말은 사료 중 카제인과 1:1로 치환하여 공급하였다. 분석은 중량, 지방량, 그리고 혈중 지질성분으로서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그리고 중성지방(TG)으로 하였다. 사육 종료 후 체중 증가량은 집단 구분의 순서대로 26.22 g, 13.33 g, 19.60 g, 9.07 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저장 지방량은 1.30 g, 0.70 g, 0.87 g, 0.50 g으로 각각 나타 났다. TC는 CON에 비하여 EX 0.39%, SP –13.54%, SPEX –22.77%의 변화가 나타 났으며, HDL-C는 CON에 비하여 EX 12.19%, SP 8.61%, SPEX 31.10%의 변화가 나타났다. LDL-C는 CON에 비하여 EX –9.83%, SP –39.84%, SPEX –78.23%의 변 화가 나타났으며, TG는 CON에 비하여 EX -16.91%, SP –23.38%, SPEX –73.88% 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누에 번데기 섭취 혹은 운동과 병행하며 섭취하였을 때 혈중 지질성분을 개선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개선할 수 있다는 점 을 시사하며 이는, 메뚜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양질의 아미노산 및 불포화지방산 에 의한 것이라 판단된다.
To understand how reactivity between reinforcing nanoparticles and aqueous solution affects electrodeposited Cu thin films, two types of commercialized cerium oxide (ceria, CeO2) nanoparticles were used with copper sulfate electrolyte to form in-situ nanocomposite films. During this process, we observed variation in colors and pH of the electrolyte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Ceria aqueous solution and nickel sulfate (NiSO4) aqueous solutions were also used for comparison. We checked several parameters which could be ke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hanges, such as the oxidation number of Cu, chemical impurities of ceria nanoparticles, and so on. Oxidation number was checked by salt formation by chemical reaction between CuSO4 solution and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We observed that the color changed when H2SO4 was added to the CuSO4 solution. The same effect was obtained when H2SO4 was mixed with ceria solution; the color of ceria solution changed from white to yellow. However, the color of NiSO4 solu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We did observe slight changes in the pH of the solutions in this study. We did not obtain firm evidence to explain the changes observed in this study, but changes in the color of the electrolyte might be caused by interaction of Cu ion and the by-product of ceria.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s were examined by nanoindentation, and reaction between ceria and electrolyte presumably affec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deposited copper films. We also examined their crystal structures and optical properties by X-ray diffraction (XRD) and UV-Vis spectroscopy.
Agricultural practices are known to have a crucial influence not only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ut also on microbial communiti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rming practices on soil microbial communities, a total of 10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cluding five conventional and five organic farming soils cultivated with peppers in plastic greenhouse. We conducted barcorded-pyrosequencing of V1-V3 regions of 16S rRNA genes to examine soil microbial communities of two different farming practices. Taxonomic classifica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at the phylum level indicated that a total of 22 bacterial phyla were present across all samples. Among them, seven abundant phyla (>3%) including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Firmicutes, Acidobacteria, Bacteroidetes, Chloroflexi, and Gemmatimonadetes were found, and Proteobacteria (33.0 ± 5.7%), Actinobacteria (19.9 ± 9.7%), and Firmicutes (13.6 ± 5.0%) comprised more than 66%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Organic farming soils showed higher relative abundances of Proteobacteria and Firmicutes, while Actinobacteria and Chloroflexi were more abundant in conventional farming soils. Notably, the genera Bacillus (higher in organic farming soils) and Streptomyces (higher in conventional farming soils) exhibited significant variation in relative abundance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soils.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identified significant relationships (p<0.05) between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and microbial communities. Taken 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agricultural farming practices effected significantly (p<0.05) on soil microbial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