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Prostate MRI BOLD 영상에서 T2 star relaxometry fitting tool 수치를 구한 후 Cancer 구별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본원에서 Prostate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Cancer로 판명된 40명과 Cancer외 질환으로 판명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나이는 61.3세였다. 장비는 Archiva 3.0T(Philips Medical System, Nederland)와 32Channel Torso-cardiac coil을 사용하였으며, BOLD sequence 조건은 FOV 200, TR/TE: 260/5.0, Matrix: 132 × 111, Thickness/gab: 5/1, NSA: 1로 하였고 Echo를 8, 12, 16, 20으로 하여 검사하였다. Cancer 판명과 Cancer 외의 판명 그룹으로 나눠 T2 star fitting tool을 이용하여 T2 star relaxometry의 수치를 구하였고 통계는 SPSS 12 Version을 이용한 검정 방법으로 One way ANONA와 다중비교, Bonferroni를 이용했다. 측정부위는 Prostate 전체부위로 설정하였다.
결 과 : Cancer 환자와 Cancer 외 환자그룹의 영상에서 T2 star relaxometry 수치 값은 8, 12, 16, 20 Echo 모두에서 Cancer 환자의 수치가 전부 높게 나왔다. 평균값은 116.075와 51.85로 두배 이상 수치 값으로 나왔다. SPSS 통계를 통해서도 Cancer 환자그룹과 Cancer 외 환자그룹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p<0.01). Cancer 환자그룹에서는 16 Echo 평균에서 118.67로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났으며 8 Echo평균에서 113.24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Cancer 외 환자그룹에서는 8 Echo에서 52.42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12 Echo에서 50.69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각 Echo별 ROI설정 내 조직 T2 star 값은 Cancer환자 그룹이나(p=0.672) Cancer 외 환자 그룹 (p=0.083)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두 그룹 내 Echo별 모든 검사에서는 T2 star relaxometry 수치 값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Echo별 구분은 의미가 없었으며 Cancer 그룹과 Cancer 외 그룹 간 차이에서는 T2 star relaxometry 수치가 차이가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Cancer 유무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목 적 : 이번 연구는 본 의료기관에서 개발하여 적용된 인공장치가 삽입된 환자에 대한 MRI처방 제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및 인공장치에 대한 MR적합성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체내 인공장치가 삽입 된 환자에 대한 MRI처방 제어프로그램은 의사의 MRI처방 발생단계와 부서예약단계 그리고 검사실 예약 및 접수의 세가지 단계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MR적합성 데이터베이스는 인공와우(cochlear implant), 심장박동기(Pacemaker), 신경자극기(Deep Brain Stimulator, DBS) 미주신경자극기(Vagus Nerve Stimulator), Programmable Valve, 유방조직확장기(breast tissue expander), 이식형 심실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심장재동기(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척수신경자극기(Spinal Cord Stimulator) 등의 9종류의 장치에 대해 ASTM의 기준에 따라 MR safe, conditional, unsafe로 분류했다.
결 과 : 전산 제어프로그램의 적용으로 MRI검사를 시행할 수 없거나 제한 된 조건에서만 시행이 가능한 검사금기·주의 장치가 삽입 된 환자에 대한 MRI검사에 대해 처방 발생 전에 제어하고, 처방이 발생되더라도 MRI검사실에서 예약조절을 통해 유관부서 또는 제조사와의 업무협조를 가능하게 되었고, 환자와 병원에 가장 중요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R적합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9종류 약 166개 장치에 대한 MR적합성을 분류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체내 인공삽입 장치가 있는 환자에 대한 MR처방 제한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으로 인해 검사금기장치에 대한 처방발생을 방지하고 검사주의장치에 대한 안전한 MRI 검사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체내 삽입장치 9개 종류 166개 장치에 대한 MR적합성 분류를 통해 국내 의료기관에 MR안전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