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rting materials are very significant to produce activated carbons because every starting material has a different chemical structure; hence they affect the surface functional groups and surface morphologies of obtained activated carbons. In this study, sycamore balls, ripe black locust seed pods, and Nerium oleander fruits have been used as starting materials by ZnCl2 chemical activations for the first time. Firstly, activated carbons were obtained from these starting materials with ZnCl2 chemical activation by changing production conditions (carbonization time,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impregnation ratio) also affecting the structur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activated carbons. Then, the starting materials and resultant activated carbons were characterized by utilizing divers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TGA, elemental analysis, proximate analysis, BET surface areas, pore volumes, pore size distributions, N2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s, SEM, FTIR spectra, and H2 adsorption isotherms. The highest surface areas were determined to be 1492.89, 1564.84, and 1375.47 m2/g for the activated carbons obtained from sycamore balls, ripe black locust seed pods, and N. oleander fruits, respectively. The yields of these activated carbons with the highest surface areas were calculated to be around 40%. As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creased with sufficient ZnCl2 amount, N2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s began to turn into Type IV isotherms given by mesoporous adsorbents with its hysteresis loops. Also, their hysteresis loops resembled Type H4 loop generally associated with narrow slit-like pores. Moreover, hydrogen uptakes under 750 mmHg at 77 K were determined to be 1.31, 1.48, and 1.24 wt% for the activated carbons with the maximum surface areas produced from sycamore balls, ripe black locust seed pods, and N. oleander fruit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highest surface areas of the activated carbons with different structural propertie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with different production conditions.
        5,200원
        2.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까시나무 조림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까시나무 조림지와 인접하고 있는 다른 임분의 토양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여 토양특성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까시나무 조림지와 인접 임분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와 양질 사토로 나타났다. 토양 pH, 유효인산의 함량, 탄소와 전질소의 함량이 아까시나무 조림지와 인접 임분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에서 토양 pH와 탄소의 함량은 참나무류림보다는 낮지만, 소나무류림보다는 높았으며, 유효인산과 질소의 함량은 아까시나무 조림지가 인접 임분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임분들 사이에서는 토양 pH가 높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탄소와 전질소함량에서도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토양 pH, 탄질률, CEC, 전질소함량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까시나무가 인접하고 있는 참나무류림과 소나무류림에 침입하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4,000원
        3.
        196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전역에 널리 발생하는 아까시나무의 모자이크병에 대해서, 그 병징을 관찰 기재하고 접목전염시험을 하였다. 본병은 전형적인 mosaic의 양상을 이루며, 접목에 의하여 용역하게 전염되는 것으로 미루어 일종의 virus병으로 생각된다. 접목전염시험에 있어서는 건묘에 병수를, 또는 병근에 건수를 접함으로써, 공히 용역하게 전염시킬 수 있었다. 건묘에 병수를 접한 것에서는, 접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10-30일) 접수(병)를 박리한 것이, 박리않고 그대로 방치한 것에 비하여 훨씬 감염발병이 양호하였으며, 대목과 접수가 접착한 10-30일간에 있어서의 접착기간의 장단에 따르는 감염율의 증감은 인정할 수 없었다. 그리고 대목과 접수(병)의 유착이 안되었을 경우에도 전염이 되었다. 목병은 그 병징, 접목에 의한 전염, 그리고 즙액전염의 가능(미발표) 등으로 미루어 Atanasoff(1935), 그리고 Milinko등(1961)이 보고한 동남유럽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 mosaic disease와 근연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편 김명오 등(1961)은 한국에 아까시나무 witches broom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록했는데, 이는 본 모자이크병을 가리킴이 아닌가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