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xpression of MMPs in the development of the fertilized egg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cell configuration. Objective To evaluate the clinical, the effect of differentially expressed MMPs on serum and serum - free medium on the maturation of blastocysts. The expression patterns of MMPs in serum and serum-free medium were compared at 6 h, 18 h and at the blastocyst stage using real-time PCR, ELISA and immunofluoresc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MMPs was increased in the embryos of the serum medium, as a result of analysis of MMPs and TIMPs, MMP-2 was expressed in the cytoplasm of embryos in the serum-free medium, And it was found to be higher in expression than MMP-9. The serum medium was different from the bloodless badge: overall, TIMPs showed a higher expression in the ovarian cells than cyanosis, and TIMP-3 was more pronounced. Development rate of blastocyst according to in vitro culture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serum - free medium (61.22% 60/98) and serum - free medium (48.28% 28/58). Analysis of the protein release locations of MMPs and TIMPs showed that MMPs and TIMPs are highly expressed in serum mediums, focusing on the inner cell mass. However, very low expression appeared in the tropoblast. On the other hand, serum - free medium showed different expression from serum medium and TIMPs expression was generally low. Therefore, in the case of serum media, the expression of MMPs is highly expressed in the cytoplasm of the fertilized egg, increasing the reconstruction of cells.
        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it is believed that internal nutrient sensors play important roles in feeding behaviors, their molecular and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of the modulation of physiological status and cell growth are poorly understood. Using a Ca2+ imaging experiments with heterologous expression systems, we show that one of the gustatory receptors in the western honey bee Apis mellifera is selectively tuned to amino acids. Remarkably, we report that this gustatory receptor of the honey bee is highly expressed in hypopharyngeal gland, which plays a role in caste differentiation as well as royal jelly production and secretion. Knocking down this gustatory receptor gene reduces cellular pathways responsible for nutritional sensing such as mTOR signals in hypopharageal gland. Furthermore, the interfering expression of this gustatory receptor gene not only alters morphological changes and developmental retardation of the hypopharyngeal gland, but it also blocks cellular growth signals to induce autophagy. This new report indicates that internal sensing and downstream signals detecting nutrients is essential for honey bee to maintain the cellular growth and development of internal organs essential for cast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ocial structure in the honey bee.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지난 30년동안 평균기온이 0.7℃, 겨울철에는 1.4℃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온난화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이상기상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채소작물에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노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고추, 배추 및 무는 온난화로 인하여 정식시기를 점점 앞당겨 정식후 갑작스런 저온이 오면 이들 작물의 피해가 크다. 따라서 본 실험은 저온에 따른 배추의 생육특성과 엽 세포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춘광' 배추품종을 화분에 정식한 후 노지 처리구, 무가온 하우스 및 가온하우스 처리구 등 3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정식후 50일의 생육은 노지처리구의 초장, 엽수, 엽록소 및 엽면적이 가온 처리구에 비해서 현저하게 떨어졌고, 특히 생체중의 경우에는 가온 처리구에 비해서 노지와 무가온 하우스 처리구가 1/3 수준으로 현저하게 낮았다. 배추의 잎이 10매 정도 생육이 되었을 때 저온에 따른 배추 잎의 피해증상은 영하 3.0℃ 조건에서는 배추 겉잎에 약간의 수침증상을 보였으나 회복되었다. 그러나 영하 7.4℃ 조건의 배추 잎은 수침증상이 심하였으며 회복되지 못하고 황색으로 변하면서 결국 잎이 고사하였다. 피해받은 잎의 엽육세포는 영하 3.0℃ 조건에서는 울타리조직과 해면조직이 약한 붕괴증상을 보였지만 어느정도 형태를 갖추고 있었는데, 영하 7.4℃ 조건에서는 세포가 동결된 후 해동되는 과정에서 세포의 막구조가 파괴되어 울타리조직과 해면조직이 완전히 붕괴되었기 때문에 세포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배추 정식후 초기 생육 단계에서 영하 3℃까지는 비닐이나 부직포로 보온, 토양수분 조절, ABA 처리를 하여 동해를 예방할 수 있으나 영하 7℃의 저온이 발생하면 세포가 파괴되어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시 심거나 또는 다른 작물로 대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000원
        5.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폐기된 유리물질을 재가공하여 입자화한 CGF(cellular glass foam)를 펄라이트 대체 혼합상토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GF의 입자크기를2.0∼4.0 mm로 조절한 후 피트모스와 혼합하여 배지를 조제하였고 관수빈도에 따른 Lycopersicum esculentum 'Segye' 플러그묘의 생육을 비교히였다. CGF와 피트모스의 혼합비율은 25:75와 33:67(%, v/v)이였으며 관수빈도는 2일에 1회, 2회, 또는 3회로 하였고, 상업용 플러그 배지(토실이 배지)에 1일 I회 관수한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파종 후 33일에 플러그묘의 초장, 경경,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엽수, 엽면적, 엽록소 함량, 그리고 배지의 pH와 EC를 조사하였다. 배지 혼합비율에 따른 플러그묘의 전체 생육은 유의성이 낮았다. 관수빈도에 따른 경경, 엽수, 엽면적,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T/R 그리고 배지의 EC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CGF와 피트모스를 25:75(%, v/v)로 혼합한 배지에 관수빈도를 높인 처리에서 묘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