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카모마일, 라벤더, 샌달우드를 혼합한 아로마 혼합오일(CLS)과 면역억제제(FK506)의 아토피 피부 염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중 IgE(Immunoglobulin E)와 IgG1(Immunoglobulin G1)의 수준의 감소효과, 피부 임상지수를 이용한 육안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gE 수준을 낮추는데는 CLS가 더 효과적이었고, IgG1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FK506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결과를 통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마우스에 FK506과 CLS를 도포한 후 2주까지는 아토피 증상을 더 악화시켰으며 4주후부터는 증상완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K506의 효과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IgG1 수준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 며 이와 관련하여 보다 심도있는 실험 조사가 필요하겠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카모마일 저먼, 라벤더, 샌달우드의 아로마 혼합오일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효능이 있음이 인정되었고 이와 같이 장기간 피부에 도포하여 치료하는 경우 CLS가 아토피 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가능성이 보임을 확인하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4,000원
        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anthine oxidase(XO)/√hypoxanthine(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 L., German chamomile)추출물에 대한 영향을 인체피부멜라닌세포(SK-MEL-3)를 배양한 후 세포부착율을 비롯한 DPPH-자유기 소거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티로시나제의 활성, 총멜라닌량의 정량 및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한 세포부착율의 감소를 나타낸 반면,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부착율의 유의한 증가와 자유기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서 XO/HX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배양 SK-MEL-3세포에서 XO/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 추출의 멜라닌합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의 활성 및 총멜라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80μg·mL-1, 또는 160μg·mL-1의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의 전 처리에서 XO/HX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티로시나제활성 감소와 총멜라닌량의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있어서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XO/HX만을 처리한 실험군에 비하여 세포수와 세포돌기가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독성효과를 나타냈으며,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 및 항멜라닌화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