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사회기술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영천시 P지적장애 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12월까지 매주 금요일 총 38회, 단계적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회기술 평가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기표현 평가결과 하위항목 내용의 경우, P<0.01 수준에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위항목 음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은 높아졌다. 하위항목 체언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적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사회기술과 자기표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이고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인동과에 속하는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 LJ) 추출물이 활성산소의 일종인 glucose oxidase(GO)에 미치는 영향을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알아보았으며, 또한 LJ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전자공여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비롯하여 항산화 효소의 하나인 SOD의 활성과 비슷한 superoxide dismutase(SOD)-유사활성(SOD-like activity), 지질과산화 억제능(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및 lactate dehydrogenase(DH) 활성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GO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배양 C6 glioma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P<0.01), 이 때 XTT50값은 35 mU·mL-1에서 나타났다. 또한, LJ 추출물은 GO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GO의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한편, LJ 추출물은 전자공여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DH의 활성 감소를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J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GO의 세포독성을 유효하게 방어한 것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XO)/√hypoxanthine(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 L., German chamomile)추출물에 대한 영향을 인체피부멜라닌세포(SK-MEL-3)를 배양한 후 세포부착율을 비롯한 DPPH-자유기 소거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티로시나제의 활성, 총멜라닌량의 정량 및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한 세포부착율의 감소를 나타낸 반면,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부착율의 유의한 증가와 자유기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서 XO/HX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배양 SK-MEL-3세포에서 XO/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 추출의 멜라닌합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의 활성 및 총멜라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80μg·mL-1, 또는 160μg·mL-1의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의 전 처리에서 XO/HX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티로시나제활성 감소와 총멜라닌량의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있어서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XO/HX만을 처리한 실험군에 비하여 세포수와 세포돌기가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독성효과를 나타냈으며,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 및 항멜라닌화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아동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 및 아동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및 노인이미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전남 무안군의 마산리 남성 노인과 성남 어린이집 아동 간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고, 무안군의 동암리 여성 노인과 푸른솔 어린이집 아동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19회기 실행하였다.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우울은 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남성 노인들은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노인들은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노인들의 아동이미지 변화는 남성과 여성 노인 간의 차이가 없었다. 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여아보다 남아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정서적 행동특성은 여아와 남아 간의 차이가 없이 안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노인 이미지변화는 남아와 여아 간의 차이가 없었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무궁화 잎과 보스톤고사리 잎의 보존화 가공기술 개발 측면에서 탈수를 위한 에탄올(95%)의 적정 침지시간 및 보존을 위한 글리콜의 적정농도와 침지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처리는 무궁화 잎의 경우 72시간, 보스톤고사리 잎은 60시간이 적정하였다. 적색염료를 혼합한 글리콜에 무궁화 잎을 침지한 결과 색상은 모두 적색계열로 나타났으며, 색차값과 관능평가치는 15mL·L-1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침지처리한 것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적색염료를 혼합한 글리콜에 보스톤고사리 잎을 침지한 결과 색상은 모두 R 및 YR 계열로 나타났으며, 색차값은 20mL·L-1 농도에서 36시간 동안처리한 것에서, 관능평가치는 20mL·L-1 농도에서 48시간 동안 처리한 것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무궁화 잎과 보스톤고사리 잎을 보존화로 가공시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기존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내용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누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시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도시텃밭 이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도시 내에서 텃밭이라는 공간이 지역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도시텃밭 내 편의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도시텃밭만을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텃밭 조성 시 휴게공간 및 교류공간에 대한 충분한 계획이 이루어 져야하며, 이용자들이 편히 찾을 수 있는 정원의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확물을 지역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기관과 연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던 도시 내 텃밭의 도입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생물의 서식처 마련이나 녹색의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적 역할 또한 감당해 낼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도시텃밭 계획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육체적・정신적 건강을 통해 보다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시대에 삶의 질을 높이고자 도시의 인공적인 환경을 벗어나 녹색공간을 찾아 자연을 즐기며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산림휴양에 대한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풍부한 자연자원을 지닌 자연휴양림은 급증하는 휴양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단연 매력적인 장소가 아닐 수 없다. 자연휴양림의 휴양자원은 이용객들로 하여금 일상생활의 긴장과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 산림에서 심신의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를 갖게 하고, 자연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연을 배우고 교감하며 심리적 만족과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연휴양림의 이용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휴양림의 운영 및 유지관리와 양질의 서비스 제공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본 연구는 자연휴양림의 질적 수준 향상과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유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행태를 분석한 것으로써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이용자는 남성, 20∼40대 청장년층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고 화이트칼라 직업군, 주부, 전문직, 자영업에 속한 비율이 높았다. 대다수가 숙박을 취하며 연 1∼2회 여름이나 가을, 가족 또는 친구/연인과 함께 이용한다. 주된 활동은 휴식과 산책/등산, 자연관찰 및 감상이었고, 주된 이용 시설은 산책로와 휴양림 내 조용한 곳이었다. 휴양림에서 가장 하고 싶은 활동은 산책/등산, 자연관찰 및 감상이었으며, 요구시설은 조용히 앉아 독서/사색할 수 있는 공간, 바닥이 걷기 편한 산책길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휴양림의 기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절반이 조용한 곳,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연에 대한 교양을 넓힐 수 있는 곳으로 지목하였다. 휴양림 내 숲 관리 방향은 대부분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유지 관리되기를 원했고, 향기 나는 식물이 많은 숲, 야생화를 많이 볼 수 있는 숲,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들이 많은 숲의 모습을 선호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휴식, 휴양 및 자연체험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질적으로 높은 만족감을 선사하는 관리 및 운영 방안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자연휴양림의 이용자 특성 및 이용행태를 파악하는 것은 산림휴양 욕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휴양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치 있는 과정이라 여겨진다. 더불어 휴양림 이용자들의 행동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휴양림 특성 요인에 대한 다양하고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관광객의 방문동기 유형별로 관광객이 인식하는 사전 중요도와 사후 성취도 간 비교 분석을 통해 광주호 호수생태원의 생태관광 매력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호수생태원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관광객의 기대수준과 만족도가 실질적으로 반영된 생태관광지 매력속성을 도출하여, 차별적이고 세분화된 생태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생태관광지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광주호 호수생태원은 자연환경 측면의 생태적 가치, 전망시설, 이용 편의성과 관련된 속성들을 호수생태원의 대표적인 매력성으로 유지 및 발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반면에 다채로운 자연생태계 체험프로그램, 아동용 자연학습프로그램, 환경해설판 충분성 여부, 안내직원의 전문성 수준 항목은 생태관광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 노력이 우선적으로 집중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자연생태계에 대한 생태탐방인프라, 해설용 안내정보와 관련된 속성은 중요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과잉 개선 노력이 투입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