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차이가 지적 장애인의 정서와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꽃장식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다양한 실내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모두 2007년 7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23회 실시하였다. 꽃장식 프로그램 집단의 사회기술 평가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정서행동 평가결과 불안과 공격이 유의한 의미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적응행동 평가결과 중 중 부적응행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의미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양한 실내원예 프로그램 집단의 사회기술 평가 결과 5% 유의 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냈으며, 정서행동 평가 결과 불안, 우울, 자아개념이 유의한 의미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1% 유의 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적응행동 평가결과 중 부적응행동의 하위영역 중 공격, 반사회, 반항, 위축 항목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꽃장식 프로그램과 다양한 실내원예 프로그램은 사회기술, 적응행동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 하위항목 중 현실감 부재와 적응행동 중 대인관계 하위항목에서 다양한 실내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꽃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 집단보다 유의차(0.05)가 나타나게 향상 되었다. 두 집단 간 정서행동과 사회기술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실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현실감 부재 하위항목과 적응행동 중 하위항목 대인관계에서 프로그램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 프로그램에서 기대되는 효과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경험을 접함으로서 프로그램 간의 효과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t-butyl hydroperoxide(t-BHP)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원지(Polygalae Radix, PR)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을 비롯하여 lactate dehydrogenase(LDH)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t-BHP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C6 glioma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한편, t-BHP의 세포독성에 대한 원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원지 추출물은 t-BHP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비롯하여 LDH 활성감소 및 SOD 유사 활성을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고 있는 G아동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2007월 10월 1일부터 2008년 2월 18일까지 주 1회 총 20회 실시하였다. 대상자 전체의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충동성 검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오류개수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공격성 검사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성은 없었으나 신체적 공격성과 우회적 공격성, 흥분성의 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원예치료활동이 이루어진 장소, 시간, 집단의 크기 및 구성, 한계와 규칙, 구조성, 개방성과 같은 현재 원예치료 연구들에 나타나 있는 집단운영의 유형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활동 장소는 실내와 실외 활동을 겸하여 수행한 실험이 가장 많았으나 실내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과 큰 차이가 없었다. 활동시간은 주1회, 총12회기가 가장 많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는 10명이 가장 많았고 집단의 구성은 남녀혼성, 성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가장 많았다. 집단의 한계와 규칙을 제시한 실험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Liebmann(1986)이 제시한 ‘A' 'B' 'C' 'D'의 집단 구조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의 개방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었고 일부 논문에서 개방집단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원예치료 운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활동장소와 회기당시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기당시간도 집단의 연령 구성과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회기와 총회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외의 요인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행된 활동이 집단원예치료라면 개별원예치료와 일반적인 원예활동과는 차별되게 집단원예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효율적으로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연구와 제시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제시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의 수정,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이며, 또한 향후 집단원예치료의 요소와 집단원예치료에서 수행된 원예활동들의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제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치료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y manufacturing planter by using scrapped tires such tires can be used more broadly. It contributes to reducing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velopment of landscape facilities. It proposes direction for effective usage of scrapped tires. It is for carrying out study on the effect of new kind of assembly type planter for growing condition of plants. This planter is for using scrapped tires. A number of scrapped tires are combined. Then at No. 2 perforated pipe cap is installed at left and right side of platform. In this way cumulative strata is formed. At the above mentioned cumulative strata tub is inserted. In such tub plants can be planted. In front of above mentioned No. 2 perforated pipe cap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Through above mentioned ventilation holes external air is supplied to root of planted plant. This is about plant which uses scrapped tires and for stimulating growth of plants as described above. Rollers are attached to the platform. Thus it is mobile. Moisture can be reserved inside by putting chaff charcoal bag and charcoal bag as inner liner. Perforated pipe cap passes through tire sidewall therefore ventilation is possible. Water trough is attached at lower part of platform and water supply is controlled. This product is aesthetic and also functionally effective because green net is covered external part of tires. From the outcome of using environmentally safe scrapped tire for growing plants it was confirmed that using perforated pipes above the ground was more conducive to plant growth than such pipes were not used. Thus effect of perforated pipes in stimulating plant growth was confirmed. Trees with which the above mentioned pipes were installed seemed to be more advantageous for taking roots and growing. It appears that such result was stemming from perforated pipes and disposal of supplied water. Thus long term experiment on level of growth of plants in diverse ways should be carried out in future.
외생균근은 접종 3일 후 뿌리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종 5일 후 균사가 뿌리 표면에 감염되어 균사 다발이 뭉쳐진 상태를 나타내었다. 균근 감염 6~9일 후에는 균사가 토양 전면에 퍼졌다. 균근 감염 9~14일 후 균사가 뿌리를 감싸기 시작하였다. 균근 감염 15~19일 후 균사는 뿌리의 외피를 감싸고 피층 세포 사이로 침입하여 균근을 형성하였다, 균근이 형성된 후에는 새로운 뿌리가 형성되었으며 균근이 뿌리에 활착되어 Y자형으로 뿌리 끝이 부풀면서 균근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송의 생장이 촉진되었다. 해송(P. thunbergii)을 파종하여 외생균근 균인 모래밭버섯(P. tinctorius)과 황소비단그물버섯(S. bovinus)을 접종하여 4개월 생장한 결과, 대조구는 줄기 길이가 7.4cm인 반면 외생균근 균인 모래밭버섯(P. tinctorius)을 접종한 것은 11.4cm로 34.2% 생장이 촉진되었고, 외생균근 황소비단그물버섯(S. bovinus)을 접종한 것은 10.5cm로 28.6% 생장이 촉진되었다. 이외에도 줄기와 잎의 개체수가 많아졌다.
절화의 관상기간 중 꽃잎의 탈색 완화에 적합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리시안서스, 용담, 국화, 공작초를 대상으로 광도(500, 5,000, 10,000lux)와 자당 처리를 실시하였다. 광도의 차이와 자당의 유무의 차이를 비교해 볼 때 리시안서스와 용담은 각각 자당이 처리된 5,000lux에서 10.9일 10,000lux 역시 10.9일로 관상기관이 길게 나왔다. 반면 국화는 500lux에서 10.5일로 관상기관이 길게 나왔다. 공작초는 광도와 상관없이 대조구에서 10.2일로 관상기간이 길었다. 꽃잎의 탈색완화 효과는 가장 높은 광도 하의 꽃잎 색이 진하게 나왔고, 대조구 보다는 자당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진하게 나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광도의 조건과 자당의 첨가는 안토시아닌의 합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꽃잎탈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양-능주간 국도비탈면의 표면침식을 방지하고 친화경적으로 녹화를 실시하기 위해 주요 비탈면 녹화공법에 대해서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현장에 적합한 비탈면 녹화공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리핑암과 발파암 비탈면에 적용된 각 공법의 식생기반재는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토양경도와 토양산도도 기준치 이내로 식물이 발아 생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종수는 리핑암 비탈면에서는 녹화공법 A와 녹화공법 B가 파종한 12종 중 11종이 출현하여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녹화공법 C는 20종 중 12종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발파암 비탈면의 녹화공법 A-1은 16종 중 15종이 출현하였으며, 녹화공법 B-1은 12종 중 10종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녹화공법 C-1은 19종 중 12중이 출현하였다. 시험시공 6개월 후,「비탈면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 지침(안)」에 의한 식생피복율 평가에서 리핑암비탈면에서는 녹화공법 C가 약 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파암 비탈면에서는 녹화공법 C-1이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