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대안으로서 수소에너지와 그 이용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발맞춰 무탄소 연료인 수소를 LNG 의 주성분인 메탄, 메탄-프로판, 메탄-프로판-에탄 동축류 확산화염 내에 첨가하여 화염형상 및 연소생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온상압 조건의 확산화염에 수소를 단계적으로 첨가하여 실제 생성되는 연소생성물의 변화 추이를 가스 분석기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관찰하였고 확산화염의 형상은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관찰 하였다. 실험결과에서 확산화염에 수소를 첨가함에 따라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선형에 가깝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수소의 상대적으로 높은 단열화염온도와 빠른 연소속도가 Thermal NOx의 생성을 촉진했기 때문이다. 반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수소를 첨가함에 따라 메탄, 메탄-프로판, 메탄-에탄-프로판의 혼합 확산화염에 포함되어있는 전체 탄소비율이 줄어들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감소한 것이다. 이는 선박에서 LNG-수소의 혼합 연료사용으로 인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afety assessment for human body on the guided missile combustion products.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afety assessment when operating the interior missile ejection take on verify the safety of the human body. During the missile ejection of combustion products, this study is analyzed combustion products. Result are accepted NIOSH and KOSHA of the safe guideline, and 6 exposure gas to the specified values 42% (CO), 22% (CO2), not detected (others) are within minimal exposures criteria of the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Contribution of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interior missile ejection during combustion products may have been ensured human safely. Therefore, the future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al safety of the shooting projectile steel plate round, dust collector, ventilation and other facilities is to improve environmental safety and efficient renovated design needed by target focused areas.
        4,000원
        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research on stand-alone focused on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functions for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limited operating time of stand-alone installed at dwelling and their low reliability caused by false alarms, but it is more urgent to study on the operating range of stand-alone sensor in consideration of the impacts of combustion products on residents because the primary goal of fire safety is minimizing casualties. This study purposed to propose the optimized operating range of stand-alone sensor in consideration of the impacts of combustion products on residents. For this purpose, we made a mathematical approach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over the lapse of time in compartment fires similar to house fires, and established the standards of the body's response against heat and smoke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we surveyed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ical standards for stand-alone sensor, and converted them to standards for residents of the body's response against heat and smoke using mathematical model equations and analyzed them comparatively.
        4,000원
        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회적 현안이 되는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정화를 위해 석탄화력 발전산업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활용하여 미세먼지를 포집·분해하는 건설재료에 대한 기술 개발로서 자원재활용과 대기오염 저감 기술에 해당된다. 미세먼지를 석탄화력 발전소 애시 기반 다공성 활성탄의 표면에 흡착하고, 고기능성 광분해 나노섬유를 통해 분해하여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미세먼지 흡착·분해 다공체 기술은 방음벽, 보도블록 등 대기오염 농도가 높은 도로시설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