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thyl formate (EF) fumigation under green house condition is a new concept. Its concentrations inside and surrounding of the glass house (GH) and vinyl house (VH) were evaluated for 4 h (during daytime) and 12 h (during nighttime) after fumigation along with the evaluation of post-fumigation EF concentrations. The cumulative EF concentration × time (Ct) value of the 6 sampling positions in VH were 22.67 and 17.53 g·h/m3, respectively for day and night fumigation, which were 2.62 and 4.53 g·h/m3 respectively for day and night application in GH. The EF level (PPM) outside the VH and GH as well as after 20-min post fumigation were < 50 ppm revealing its safety level as its’ threshold limit value (TLV) is 100 ppm. The new technology using liquid EF fomulation could be a key option in smart-farm technologies in future. (Supported by PJ0133562018, RDA)
        2.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8Ga 방사성 핵종은 68Ge/68Ga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되는 양전자 방출핵종으로서 PET 검사에 이용되는 방사성 핵종이다. 68Ga은 67.8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88.9 %의 β+ 붕괴와 11.1 %의 전자포획으로 68Zn으로 붕괴된다. β+ 붕괴 과정에서 87.7 %는 기저상태의 68Zn로 붕괴되며, 1.2 %는 여기상태의 68Zn로 붕괴된다. 여기상태의 68Zn은 1.077 Mev의 γ선을 방출하며 기저상태의 68Zn가 된다. 이때 방출되는 1.077 Mev의 γ선을 Prompt Gamma라 하며, Prompt Gamma-ray가 환자와 상호작용하게 되면 저에너지 γ선의 산란선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 산란선이 PET의 동시계수 회로에 검출되어 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68Ga을 이용하는 PET검사 중 신경내분비 종양진단에 사용되는 68Ga-DOTATOC PET/CT영상에 Prompt Gamma-ray 보정 전 후의 표준섭취계수(SUV)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68Ga-DOTATOC PET/CT를 시행한 15명의 환자에 대해서 병변부위(Pancreas, Liver, Thoracic Spine, Brain)와 정상으로 섭취되는 조직(Pituitary, Lung, Liver, Spleen, Kidney, Intestine)의 SUVmax와 SUVmean을 비교하였으며, 임상영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Target to Background Ratio(TBR)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Prompt Gamma-ray 보정 후 Thoracic Spine을 제외한 병변부위와 Pituitary를 제외한 정상조직에서 SUVmax, SUVmean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TBR은 Prompt Gamma-ray 보정 전 후 각각 51.51±49.28, 55.50±53.12로 보정 후 높은 값을 나타냈다. (p<0.0001)
        3.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부 CT검사 시 선속경화인공물(Beam Hardening Artifact)에 의해 제 6번 7번 경추 및 추간판 등의 질환 및 그밖 에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히 구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경부 CT검사를 시행할 경우 자세의 변화방법을 적용한 견관절 의 방향과 위치에 따른 영상평가 및 커널값의 변화에 따른 영상평가를 통하여 선속경화 인공물의 원인을 알아보고 가 장 적절한 검사자세 및 Kernel값을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부 CT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 30명(2010년 7월1일 ~ 2010년 12월31일까지 내원한 환자)을 대상으로 Somatom Sensation 16(Siemens, Enlarge, Germany)장비 를 이용하였고, workstation은 AW 4.4 version(GE, USA)을 이용하였다.. 환자 자세는 견관절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 세가지 자세로 변화를 주었으며 양쪽 팔을 편안하게 위치시킨 바로 누운 자세(group N), 왼쪽 팔을 거상 시킨 자세 (group S) 그리고 양손을 외 선위(eversion)시켜 최대한 아래로 내리는 자세(group P)로 견관절의 방향을 변화를 주 어 스캔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로 영상 재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에 커널값을 B10(very smooth), B20(smooth), B30(medium smooth), B40(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로 변화를 주어 재구성 하였다. 검사자세의 변화와 Kernel값의 변화를 주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각의 노이즈 값 측정과 영상평가를 통하여 분석해보았다. 경부 CT검사 시 검사자세는 양손을 외선위(eversion)시켜 최대한 아래로 내 리는 자세(group P)로 하며, 커널 값은 B40(medium)또는 B50(medium sharp)으로 재구성할 경우 가장 적절한 자세 와 커널값으로 분석되어 임상에 적용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