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centrations of four potentially toxic elements were analyzed in 70 spraint samples of Eurasian otters from the Daechung Lake area.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As, Hg, Ni, and Pb were 1.19, 1.06, 9.95, and 0.37 μg/g dry weight, respectively. A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levels of Hg and Pb (rs = -0.47). The Hg level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istances of the sampling locations from the Daechung Dam (rs = -0.35). This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on the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the hazardous elements in otter species.
        3,0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utumn to determine phosphorus (P) fraction in sediments of Daechung Lake, to elucidate controlling factors for sedimentary P, and to compare with the other areas. For this study,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ites only once on November 2014 using ponar grab and analyzed for solid-phase P (Loosely adsorbed, Fe-bound, Al-bound, detrital apatite, and refractory organic P) by sequential extraction. Total phosphorus (TP) was relatively high in front of Daechung Dam and Hoinam where fish farm was run until 1997. The dominant sedimentary P form was Al-bound P, followed by Fe-bound P, which could be released from sediment to water column during suboxic state.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l-bound P, Fe-bound, and TP were controlled by grain size of sediments. Loosely adsorbed, detrital apatite, and refractory organic P were relatively highly accumulated at the mouth of major tributaries where suspended sediments were delivered. Sedimentary P concentrations in Daechung Lake sediments were not higher than in other lake sediment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major controlling factors were grain size and input of suspended sediments from tributaries.
        4,000원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eutrophication in the lake, which i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and as potable water. However, water quality properties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in the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spatial and temporal properties of water quality and to characterize streams which could threaten water quality of Daechung Lake. For this study, water samples were weekly or monthly collected from February 2014 to October 2014 in 9 streams. Water quality parameter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TN and TP), suspended solids (SS), and chlorophyll a. Based on temporal distribu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OD, COD, TOC, SS, and TP were controlled by not only river discharge that increased during summer due to heavy rain fall, but also due to anthropogenic input (e.g., bridge construction and/or agricultural activity). Dilution is also one of the factors explaining TN and conductivity, both of which decreased with increased discharge. Generally,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BOD, COD, TOC, TN and TP) in the tributa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Daechung Lake. However, pollution load indicated that only the main channel of Geum River and Sook Stream may largely influence lake waters, attributed mostly to their large volumes. This implies that the main channel and Sook Stream are the major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of Daechung Lake.
        4,600원
        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eutrophication in the lake, which i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and as potable water. However, water quality properties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in the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spatial and temporal properties of water quality and to characterize streams which could threaten water quality of Daechung Lake. For this study, water samples were weekly or monthly collected from February 2014 to October 2014 in 9 streams. Water quality parameter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TN and TP), suspended solids (SS), and chlorophyll a. Based on temporal distribu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OD, COD, TOC, SS, and TP were controlled by not only river discharge that increased during summer due to heavy rain fall, but also due to anthropogenic input (e.g., bridge construction and/or agricultural activity). Dilution is also one of the factors explaining TN and conductivity, both of which decreased with increased discharge. Generally,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BOD, COD, TOC, TN and TP) in the tributa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Daechung Lake. However, pollution load indicated that only the main channel of Geum River and Sook Stream may largely influence lake waters, attributed mostly to their large volumes. This implies that the main channel and Sook Stream are the major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of Daechung Lake.
        4,600원
        5.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수에 의한 국지 순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청호수 주변에 대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고 국지 순환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WRF 모델로부터 예보된 지상 기온은 관측보다 작으며, 풍속은 모델에서 관측보다 강하게 모의됨을 보였다. 호수 주변의 국지 순환은 호수와 주변 지면과의 열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호수풍이 특징적이었다. 대청호수에서는 호수풍이 09 LST에 발생하며, 15 LST에 최대를 보이고 18 LST에 소멸하였다. 수치 모의된 연직 순환의 높이는 1,200m를 나타냈다. 비습의 분포는 낮 시간동안 호수풍 순환에 의해 호수위의 습윤한 공기의 내륙 이동으로 주위 지면에서 증가함을 보였다. 호수를 제거한 민감도 실험에서 호수가 존재할 때 주위 지면 온도가 감소함을 보였다. 호수 지표이용도를 초원으로 변경하였을 때 호수 주변의 기상관측소에서 풍속은 증가하였다. 수치실험은 호수로부터 발생된 호수풍 순환이 주위 대기경계층 기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지시한다.
        4,600원
        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댐저수지의 년간 식물플랑크톤 발생 현황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대청호를 대상으로 ’97년 10월부터 ’98년 10 월까지 1년간 1주 간격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총인 농도의 년중 평균치는 0.025 mg/L로써, algal bloom을 야기시킬 수 있는 기준인 0.01 mg/L를 상회하였다. 6월말 까지는 5,000 cells/mL 이하의 현존량을 보이다 수온이 25°C를 넘는 고수온기인 7월 초순부터 9월 중순까지 약 70일간 남조류 수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 중순 집중강우 시기를 제외하고는 하절기 동안 거의 모든 정점에서 10,000 cells/mL 이상의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대청호에서 하절기 수화의 원인종은 Microcystis屬 (M. ichthyoblabe, M. aeruginosa)과 Anabaena屬(A. spiroides var. crassa, A. planctonica), 그리고 Oscillatoria limosa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온이 20°C 이하인 ’97년 10월 하순부터 ’98년 4월 중순까지는 Aulacoseira속 등의 규조종이 우점하였으며, 수온이 20°C를 넘기 시작하는 6월 초순 이후에는 Anabaena planctonica 등의 남조류가, 그리고 4월 하순부터 6월 초순까지는 규조종과 갈색편모조강, 남조류 등이 혼재하여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8월 중 300 mm 이상의 집중 강우기에는 수층 불안정 과 flushing 효과에 의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댐저수지에서 남조류 수화 발생시, flushing 이 효과적인 남조류 저감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하류부터 대청댐상류까지 총 유역면적 3108.29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델을 적용하여 유출유량모의를 실시하는데 있어서최적의매개변수를추정하는방법을보고하고있다. SWAT 모델의 모의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매개변수가 요구되며 이러한 매개변수의 최적값을 산정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CUP에서 제공하는 4가지 통계 알고리즘 중에서 GLUE와 SUFI-2의 2가지 내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2,000회의
        10.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담댐 건설 후 방류 유량 및 방류 수질의 변화에 따라 계산된 금강상류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대청호 수질 변화를 예측하였다. 용담댐의 방류수량, 수질 그리고 대청호의 유량 시나리오는 이 은형 등(2002)이 금강의 모의를 위해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보았으며, 각 경우의 결과를 연구기간중의 실측수질과 실측유량을 사용했을 경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용담호 방류량의 변화는 대청호 입구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청호댐 부근의 수질에는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