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Various treatments have been proposed for chronic low back pain (CLBP), but recent guidelines and reviews recommend regular physical exercise. However, some other studies have reported opposite results that sling exercise (SE) and other exercises (OE) did not differ in improving CLBP. Objective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meta-analyze the effects of SE on CLBP in studies published in Korea. Design: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SE with OE and modality therapy (MT), published up to June 2020, were identified by electronic searches. Primary outcomes were pain and disability.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WMD), stand mean difference (SMD)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E was effective for pain in the comparison of SE and MT [short-term: WMD=-1.64, 95% CI (-3.06, - 0.22); long-term: WMD=-0.34, 95% CI (-0.42, -0.26)]. It was effective for pain in the comparison of SE and OE [short-term: WMD=-1.18, 95% CI (-2.15, - 0.20); long-term: WMD=-0.66, 95% CI (-0.89, -0.43)]. It was also effective for disability in the comparison of SE and MT [short-term: SMD=-15.82, 95% CI (- 23.10, -8.54)]. We found no clinically relevant differences in disability between SE and OE. Heterogeneity was high in the comparison of SE and overall variables. Conclusion: If SE is applied to physical therapy to improve the main symptoms of CLBP patients, it may contribute to their recovery. More high-quality randomized studies on the topic are warranted.
        4,000원
        2.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영화 <오아시스>(2002)와 <말아톤>(2005)에 나타난 장애재현과 담론을 관객수용분석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영화 속에서 다뤄진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관객의 인식과 수용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19명의 비장애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복합적 현상으로서의 장애, 2)비장애 중심적 상징으로서 전유된 장애, 3)정상성에 동화·흡수된 장애. 첫째, 참여자들은 의료화된 관점과 함께 젠더화와 계층화된 시각으로 장애와 장애관련 등장인물들을 인식·수용했다. 둘째, 참여자들은 장애인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와 상징을 차용하여, 장애인들이 아닌, 자신들의 사회적 어려움을 표현했다. 셋째, 참여자들은 영화 속에서 비장애와 남성중심적으로 묘사된 장애여성의 성과 사랑(오아시스)과 장애남성의 장애극복(말아톤)을 정상과 비장애 중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공감을 표시했다. 참여자들의 장애인물에 대한 인식과 수용은 <오아시스>와 <말아톤>이 장애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뿐만 아니라 비장애중심적인 정상성을 확대·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8,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