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역』, 「계사전」에서는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는 것을 도라고 말 하니 …… 음과 양을 헤아릴 수 없는 것을 神이라고 한다(一陰一陽之謂 道. …… 陰陽不測之謂神).”고 말했다. 즉 ‘神’은 易이 感하여 천하의 원 인과 통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경지를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陰陽 變化의 원리를 가장 핵심적으로 드러내는 말이라고 볼 수 있다. 동기창은 음과 양을 통한 神의 원리를 표현하는 것을 예술적 세계관으로 인식하고 그의 화론에서 지속적으로 드러냈다. 동기창은 이와 같은 ‘以形寫神’을 작품 안에서 실현하는 것을 추구해야 할 회화적 造化觀으로 본 것이다. 이처 럼 회화 작품에서 ‘傳神’을 한다는 것은 陰과 陽의 對待 작용을 통해 生 의 원리를 이끌어내는 것과 같이 작가와 대상이 서로 감응하여 하나가 되어 작품을 만들어내는 경지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동기창은 이와 같이 작품 속에서 ‘傳神’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南宗文 人畵의 역사에 대한 학습과 자연에 대한 체험, 그리고 書畵同源적 원리 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을 선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그의 學 畵觀은 동기창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氣韻生動’ 또한 후천적인 노력 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여겼다. 또한 동기창이 天機를 관찰하는 것을 통 해 筆意에 변화를 주고자 했던 王維를 존중했던 것을 통해 法과 變의 對 待 관계를 중요시했으며 法[학습]을 통해 新[창신]을 실현하려 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또한 회화의 근원에 대한 학습을 통해 서예와 회화의 근 본 요소인 線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했고 이를 회화에도 적용할 수 있어 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동기창은 안개와 구름의 변화는 자연의 변화를 가장 잘 드러내 는 것이며, 이를 회화에서 제대로 표현하여 자연의 생명성을 드러내는 것이 회화의 생명성과도 연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자연의 생명성 이 곧 예술 작품의 창조성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그래서 동기창은 작품 가운데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생명 성을 드러내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리고 동기창은 이것 또한 적절 한 필법의 운용을 통해 자연 변화의 원리를 담아내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