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Electromagnetic(EM) wave absorber for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ETC or Hi-pass) system by using Amorphous metal powder and CPE. The material properties and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samples containing 50 wt.%, 60 wt.%, 70 wt.%, and 80 wt.% of Amorphous. Moreover, the EM wave absorption abilities were simulated for the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EM absorbers by adopting the measured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and then the EM wave absorber was fabricated based on the simulated design values. As a result, the EM wave absorber with the composition of Amorphous metal powder : CPE = 50 : 50 wt.% with the thickness of 2.6 mm has excellent absorption ability more than 40 dB at 5.8 GHz.
        2.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Electro-Magnetic (EM) wave absorber for wireless LAN by using Amorphous and CPE. The material constants and the absorption properties were measured for the samples containing 50 %, 60 %, and 70 % weight fraction of Amorphous. Moreover, the EM wave absorption abilities were simulated for the EM absorbers in different thicknesses by adopting the measured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and then the EM wave absorber was fabricated based on the simulated design values. As a result, the EM wave absorber with the composition ratio in Amorphous : CPE = 60 : 40 wt.% with the thickness of 4 mm has the absorption ability more than 35 dB at 2.4 GHz. Thus, it is expected the wireless LAN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developed absorber.
        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EM wave absorber was developed for the 94-GHz detecting radar system. To analysis an EM wave absorber in millimeter wave band, we fabricated three absorber samples using carbon black and titanium dioxide and permalloy with chlorinated polyethylene. After measuring the complex relative permittivity,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are simulated by 1D FDTD according to different thicknesses of less than 1.0 mm. Then, the EM wave absorber was fabricated based on the FDTD simulation. As a result, the measured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simulated ones, and the developed EM wave absorber with a thickness of 0.7 mm had the desire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ore than 14 dB in the frequency range of the 94-GHz band.
        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 중인 탐지레이더는 사용대역이 점점 광대역화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Millimeter-Wave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탐지를 목적으로 하는 군사용 레이더의 Millimeter-Wave 사용대역은 대부분이 35 GHz와 94 GHz 영역이기 때문에 탐지 회피를 위한 전파흡수체의 설계는 필수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94 GHz 대역의 전파흡수체를 10 dB 이상의 흡수능을 가지도록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FDTD를 이용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94 GHz 대역의 전파흡수체를 제작한 결과, 조성비 Binder(CPE 외 additional material) : Carbon=70 : 30 wt.%, 두께 0.7 mm에서 14 dB 이상의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5.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electromagnetic (EM) wave absorbers using TiO2 as a dielectric material with chlorinated polyethylene (CPE) were investigated in W-band radio frequencies. We compared the relative permittivity with reflectionless curve and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samples containing 40 wt.%, 50 wt.%, 60 wt.%, 70 wt.%, and 80 wt.% TiO2.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mplex relative permittivity satisfying the reflectionless condition by choosing composition ratio of TiO2. The optimized composition ratio of TiO2 for the maximum absorption property is about 70 wt.%.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e realization of an EM wave absorber with a high absorption property in W-band radio frequencies.
        6.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항만 물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중심주파수 433 MHz에서 동작하는 전파흡수체를 설계 개발하였다. 먼저 자성손실 재료인 AMP (Amorphous Metal Powder)와 지지재인 CPE (Chlorinated Polyethylene)를 이용하여 AMP:CPE의 조성비가 각각 80:20 wt.%와 85:15 wt.%의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한 후, 입력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샘플의 재료정수를 계산하고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최적의 전파흡수체를 설계하였다. 그 결과 AMP:CPE=85:15 wt.% 의 조성비에 두께 5.5 mm일 때 최적의 전파흡수특성이 얻어짐을 확인하고, 실제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433 MHz 주파수대역에서 17.5 dB의 흡수능이 얻어졌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15 dB 보다 우수한 결과이다.
        7.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빠르고 편리하게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LAN은 가정,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 무선LAN을 사용할 경우 천장, 벽, 바닥, 책상 등에서의 반사파에 의한 다중반사가 발생하여 데이터 전송의 오류 및 성능 저하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raphite의 특성을 분석하고 최적의 조성비를 찾아내서 무선LAN 환경에 적합한 전파흡수체를 연구하였다. 먼저 Graphite와 지지재인 CPE(Chlorinated Polyethylene)를 이용하여 조성비별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고, 각 샘플의 반사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재료정수를 계산하고, 전파흡수체를 설계 및 제작하여 전파흡수능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조성비가 Graphite : CPE=50:50 wt%이고, 두께 1.7 mm 인 전파흡수체가 5.2 GHz에서 27 dB 이상의 전파흡수능을 가지는 우수한 전파흡수체를 개발하였다.
        8.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실내 무선LAN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중반사에 의한 통신속도 저하 및 데이터 손실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파흡수체를 설계하였다. 먼저 자성손실 재료인 Sendust와 지지재인 CPE(Chlorinated Polyethylene)조성비별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였고, 각 샘플의 재료정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최적의 조성비가 Sendust : CPE = 80 : 20 wt.% 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전파흡수체를 실제작하였다. 제작된 전파흡수체의 측정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제작된 전파흡수체는 두께 3.2 5mm 조성비 Sendust : CPE = 80 20 wt.%이며, 중심주파수 2.4 GHz에서 19 dB의 전파흡수 특성을 보였다.
        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UHF대역 RFID 통신 시스템 간에 발생하는 리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전파흡수체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먼저 자성손실 재료인 Amorphous와 지지재인 CPE(Chlorinated Polyethylene)를 이용하여 조성비별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였고, 이 전파흡수체 샘플로부터 구한 재료정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최적의 조성비가 Amorphous : CPE = 80 : 20 wt.% 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전파흡수체를 실제작하여 전파흡수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Amorphous : CPE = 80 : 20 wt.%의 조성비 일 때, 두께 4 mm의 전파흡수체가 860 MHz~96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전파흡수능 20 dB 이상의 특성을 얻음으로써 UHF대역의 RFID 리더 간섭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무선LAN은 용도의 다양성과 편리함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무선LAN의 주파수 범위는 IEEE.802.11b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4GHz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들이 많이 있으며, 이 전자기기들을 같은 곳에서 사용할 경우 상호 간섭을 일으켜 오작동 및 데이터 손실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전파흡수체를 사용하여 해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4GHz 무선LAN용 전파흡수체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로는 MnZn-Ferrite, Sendust, CPE(Chlorinated Polyethylene)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재료정수를 이용 시뮬레이션을 하고 그 값을 토대로 전파흡수체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MnZn-Ferrite : Sendust : CPE = 64 : 16 : 20 wt.%의 조성비에서 두께가 3.7 mm인 전파흡수체가 무선LAN 사용 주파수인 2.4GHz에서 약 17 dB 이상의 흡수능 특성을 보였다.
        11.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ETC 시스템에서 다중반사로 인한 오신호 또는 시스템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전파흡수체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자성손실 재료인 MnZn-ferrite, 도전손실 재료인 Carbon과 지지재인 CPE를 사용하여 조성비별로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고, 측정된 샘플의 데이터로부터 최적의 조성비가 MnZn-ferrite : Carbon : CPE = 40 : 15 : 45 wt% 임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샘플로부터 재료정수 복소비유전율과 복소비투자율을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전파흡수체를 실제 제작하여 전파흡수능을 분석한 결과 시뮬레이션과 실제측정 값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전파흡수체의 조성비 MnZn-ferrite : Carbon : CPE = 40 : 15 : 45 wt% 로 두께 3.38 mm, 주파수 5.8 GHz대에서 전파흡수능 20 dB 이상의 전파흡수체를 개발하였다.
        12.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rally, a silicone rubber and a chlorinated polyethylene(CPE) have been used as a binder for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composite EM(Electro Magnetic) wave absorbers. In this paper, the EM wave absorption performance of natural lacquer, which is newly proposed as a binder was investigated. The prepared MnZn ferrite EM wave absorbers are mixed with natural lacquer showed excellent EM wave absorption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MnZn ferrite EM wave absorbers which are mixed with the conventional binders. MnZn ferrite EM wave absorbers mixed with natural lacquer were prepared and their absorption ability was also investigated The EM wave absorbers are fabricated in different proportions of MnZn, or NiZn ferrite and natural lacquer, and their reflection coefficients are measured. The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are calculated by using the measured reflection coefficients. The EM wave absorption abilitie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EM wave absorbers.
        13.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onstruct an Anechoic Chamber satisfy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MI testing,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EM wave absorber must be higher than 20 dB over the frequency band from 30 MHz to 18 GHz. In this paper, an EM wave absorber with super wide-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as proposed and designed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by using the Equivalent Material Constant Method(EMCM) and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FDTD). The proposed absorber is to attach a pyramidal absorber onto a hemisphere-type absorber on a cutting cone-shaped ferrite. As a result, the proposed absorber has absorption characteristics higher than 20 dB over the frequency band from 30 MHz to more than 20 GHz.
        14.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성능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를 개발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재로서 주로 Silicone 고무나 CPE(Chloride Polyethylene)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공예에서 사용되어 오던 옻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옻의 전자파 흡수능을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옻을 지지재로 사용하여 MnZn 페라이트와 배합하여 전자파 흡수체를 제작한 경우의 전자파 흡수능 및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흡수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옻을 지지재로 한 MnZn 페라이트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는 CPE나 Silicone 고무를 지지재로 한 전자파 흡수체에 비하여 우수한 전파흡수특성 나타내었으며, 옻을 지지재로 사용한 전자파흡수체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정합주파수와 전파흡수능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eet형 전파흡수체를 제조하고 그들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ferrite 흡수체의 흡수특성은 2.4~3.2GHz의 주파수범위에서 입자크기의 감소에 따라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