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민국 정부들은 복지국가를 시대적 과제로 천명하고 있음에도, 낮은 복지 지출과 높은 사회적 불안이 라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복지국가 ‘체제’의 기획을 제안 하며, 그에 필요한 관점과 방향성을 얻기 위해 복지국가이론의 계보를 탐색한다. 먼저, ‘전후 복지국가’의 팽창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고찰하고, 복지체제론을 통해 그 성숙과 위기 대응 양상도 살펴본다. 다음으로, 새로운 사회경제적 환경에 조응하여 진행되는 복지국가의 재구조화, 즉 ‘탈(脫) 전후 복지국가’의 등장을 설명하는 현대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이렇듯 복지국가이론의 계보를 살피는 것은 현행 제도의 구 조와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미래 기획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는 과정이자, 대한민국이 사회권적 기본권이 적 극 구현되는 나라로 나아가는 데에 필요한 지적 토대를 쌓는 일이라고 본 논문은 주장한다.
        6,900원
        2.
        2020.0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ousehold economic behavior of salt farmers participants in Salt Business Empowerment Program (Pugar) including of salt production, work flow, household revenue, the behavior of consumption of food and non-food items and the welfare level. This research followed a survey method by engaging 32 household farmers as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empowerment program was carried out through the technical assistance of salting production and the assistance of equipment and technology from Thread of Screw Filter and geoisola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salt. The problems come when the marketing of salt is still limited to the collectors of salt which led to the price of salt level, manufacturers have not remained stable. Household revenue sources for some salt farmers also come from non-salt pond business activities. Farmer household revenue can be used to meet staple food consumption and non-food staple consumption. Based on the indicators of family welfare, households participating in the empowerment program were group into the category of prosperous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