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market demand on functionality rice has been increasing, embryo rice in which embryo residue remains even after milling has come to comsumers’ attention because rice embryo contains several functionality components. Consequently, development of rice varieties for higher rate of embryo adhesion to grains after milling has become one of the breeding objectives for quality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observed embryo dent of 49 commercial variet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bryo dent and grain size and shape. Embryo dent of rice grains varied 0.27 (Keunnun)~0.59 (Daerip 1) mm. Varieties Jinbu, Jinbo, Heugseol, Obong, Unkwang, and Cheongnam showed relatively deeper embryo dent, suggesting that they will be applicable in breeding for embryo rice. Embryo dent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ain width (r=0.53**) and grain size(r=0.34*), and negatively with grain width/length ratio (r= -0.38**). Strategies for breeding embryo ric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embryo dent, grain size and shape.
        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 쌀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백미상태에서도 배아의 일부가 부착된 배아미의 이용을 위한 기술적 품종적 연구가 착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종자형태를 보이는 49개의 품종에 대하여 현미 상태에서의 배아함몰도 및 종자형태와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배아함몰도는 0.27(큰눈벼)~0.59(대립벼1) mm의 변이를 보였다. 49개의 품종 중 진부, 진보, 흑설, 오봉, 운광, 청남 등이 배아함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품종이었다. 배아함몰도는 현미의 폭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폭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배아함몰도가 높은 품종 육성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