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analyze the synergistic effects of applying lavender aroma to a footbath, we analyzed the EEG and emotional responses of footbath, lavender inhalation, and lavender footbath in women in their 30s. Foot baths reduced wave activation, wave and wave inactivation, and SEF50 and SEF90. The foot bath activated waves by about 66% compared to the background EEG, and reduced SEF50 and SEF90 by 0.43 Hz-0.68 Hz and 3.7 Hz, respectively. Lavender inhalation activated α, β, and γ waves at a concentration of 1% or more, and inactivated θ waves. As the concentration of lavender inhalation increased, α waves increased and β and γ waves decreased. Lavender foot bath activates θ waves and α waves, and inactivates β waves and γ waves.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EEG, the lavender foot baths reduced SEF50 and SEF90, which are the median frequencies of EEG power, 0.5 Hz and 3.4 Hz, respectively. Lavender showed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hen applied to inhalation and foot bath. Lavender showed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hen applied to inhalation and foot bath. When the lavender was inhaled at the concentration of 1~10% and the lavender foot bath was applied, the average preference index (API) showed 0.64~0.66 and 3.6 ± 0.6, respectively. Lavender oil has a greater synergistic effect on emotional reactions when applied to an aromatherapy bath than by inhalation. Lavender decreased SEF50 and SEF90 as the API increased. A lavender footbath was superior to lavender inhalation in both emotional and EEG responses, and was more relaxed and calming than a footba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roma foot bath method, in which lavender is applied to a footbath,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providing relaxation and calming than a footbath or lavender inhalation aromatherapy.
본 연구는 실내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적 효과와 식물에 대한 관심도와의 관계, 식불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히였다. 9종의 실내 식물에 대한 14쌍의 이미지 감성형용사 어휘는 평가적인, 활동적인 그리고 정서적인 요인의 세 가지 주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세 가지 이미지 감성요인 중 활동적인 요인보디는 평가적인 요인이, 평가적인 요인보다는 정서적인 요인이 실내 식물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대상자들의 실내식물을 키우는 것에 대한 관심도는 충성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 연간 구입 개수,구입 비용,실내 식물을 키우는 형태와 같은 행동적 요소는 경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식물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에 있어서 실내식물에 대한 22항목의 중요도는 6가지 주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 종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서이완성”,“심미성”의 개념에 해당하는 항목들의 경우 다른 요인에 비해 충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5가지 충성도의 항목 중 “실내 식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할 용의가 있다"는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적 효과, 실내식물에 대한 관심도,그리고 중요성 인식은 거주자의 정서적 건강 증진과 실내 식물의 소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식물에 대한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