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庸 무협소설에 묘사된 시대 배경은 민족 간의 분쟁이 첨예하게 나타나던 시기로 설정되었고, 그 민족 분쟁을 해결하는 사명을 띤 민족 영웅들이 묘사되고 있다. 그 가운데는 자민족의 이익을 위해 강호를 행보했던 인물이 있는가 하면, 자신의 부귀 영화를 위해 민족을 저버리는 인물도 있다. 그리고 묘사된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민 족 간의 분쟁에 참여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위해 자신의 부귀와 명예는 물론 민족과 국가까지 포기하기도 하였다. 金庸은 또 민족 집단과 지도자의 비교 묘사를 통해 민 족관을 표현하기도 하였는데, 이를 한족의 우월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 지 않았고, 도리어 상당한 부분에서 소수민족 집단과 지도자의 도덕성과 용맹함을 부각하여 상대적으로 한족 집단의 무능과 부패를 묘사하기도 하였다. 金庸의 무협소 설에서 묘사된 민족관은 창작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초기의 작품에서는 한족을 중심으로 한 민족관을 보이며, 이후 민족 간에 발생하는 폭정과 전쟁에 반대하는 것을 표현하였고, 중후기에는 모든 민족은 평등하다는 민족관을 표현하였고, 마지막 으로 중화민족을 융합하는 민족관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Despite the growing trend of incorporating ethnic motifs, colors, and styles (i.e., ethnic-inspired designs (EIDs)) into mainstream fashion products in the US, there is yet a lack of understanding on what drives consumers to demand such products with EIDs. Although extant literatur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as to what motivates consumers to favor EIDs, much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oducts’ appeals to particular ethnic groups with matching their cultural backgrounds. Less is understood on the core self-centric values mainstream consumers reflect into EIDs and the personal goal-pursuit they project by wearing them. We address this issue. Building upon Image Theory (Beach & Mitchell, 1987), our findings document that consumers’ purchase intent toward products with EIDs is more fundamentally driven by their aspirations to boost their self-view confidence by wearing EIDs (i.e., self-enhancement), which are guided by their core self-values that are represented by two personal values (i.e., cultural openness and seeking personal style) and two product values (i.e., perceived esthetics and perceived nove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