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shwater and brackish blue-green algae were collected at 43 freshwater and brackish sites (including lakes, ponds, swamps, streams, and rivers and estuaries) throughout South Korea from March 2017 to October 2018, and were identified using light microscopy. A total 223 taxa in freshwater and 230 taxa in brackish waters in 2017 and 274 taxa in fresh and brackish waters in 2018 were identified and among them, 20 taxa were unreported taxa of blue-green algae in Korea; The new recorded taxa were Aphanocapsa marina, Calothrix fusca f. durabilis, Calothrix littoralis, Calothrix parva, Chamaesiphon minimus, Chroococcidiopsis cubana, Chroococcidiopsis fissurarum, Coelosphaerium aerugineum, Dolichospermum mendotae, Eucapsis alpine, Gomphosphaeria cordiformis, Gomphosphaeria natans, Merismopedia danubiana, Lynbya aestuarii var. gaditana, Tolypothrix tenuis, Pseudocapsa maritima, Pseudocapsa sphaerica, Pseudophormidium tenue, Trichodesmus sp. and Woronichinia elorantae.
        5,8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diction of the behavior of heavy metals over time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heavy metal toxicity in algae species. Various modeling studies have been well established, but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model for predicting the chronic effects of metals on algae species to combine the metal kinetics and biological response of algal cells. In this study, a kinetic dynamics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copper behavior (5 μg L-1, 10 μg L-1, and 15 μg L-1) for two freshwater algae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and Chlorella vulgaris) in the chronic exposure experiments (8 d and 21 d).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the rapid change in copper mass between the solutions,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sites occurred within initial exposure periods, and then it was slower although the algal density changed with time. Our model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copper mass in each part for all tested conditions with an elapsed time (R 2 for P. subcapitata: 0.928, R 2 for C. vulgaris: 0.943). This study provides a novel kinetic dynamics model that is compromised between practical simplicity and realistic complexity, and it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chronic effects of heavy metals on the algal population.
        4,500원
        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에서 9월까지 4개월 동안 우리나라 하천 중 금강 백제보에 주로 서식하는 말조개, 펄조개와 대칭이를 채집하여 서식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들의 여과율을 실내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여 검량선을 산출하였다. 백제보에서 채집된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는 24시간 동안 평균 154.84 μg L-1의 Chl-a를 제거하였으며, 이는 실내 수조 (2 L) 내의 식물플랑크톤 C. vulgaris (초기 Chl-a=168.34 μg L-1)를 약 24시간 만에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가 연평균 4 만 마리가 서식할 경우 (Lee et al., 2020), 6월 한달 동안 예상되는 Chl-a의 저감 효과는 10.55%으로 예측되고 7월의 경우 34.88%, 8월의 경우 20.14%, 9월의 경우 46.21%로 평균 27.94%의 저감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적으로 이매패류가 서식지에서 효과적으로 Chl-a를 제거 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실제로 이매패류를 통하여 수생태계의 조류 제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매패류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 수생식물, 저서생물, 퇴적물, 유속 등의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매패류의 여과율과 이에 따른 Chl-a에 저감율에 기반하여 수생 태계 조류 제어능력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은 차후 다양한 요인과 관점에서의 통합된 연구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shwater algae (green algae, blue-green algae and flagellated algae) were collected at 103 freshwater sites (including lakes, ponds, swamps, streams, and rivers) throughout South Korea March 2015-October 2016, and were identified using light microscopy. A total of 345 taxa in 2015 and 329 taxa in 2016 were identified and among them, 6 taxa in 2015 and 8 taxa in 2016 were new 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new recorded species were Characiopsis malleolus in Xanthophyceae, Phacus mammillatus in Euglenophyceae, Epipyxis utriculus and Lagynion ampullaceum in Chrysophyceae, Bicosoeca planctonica in Bicosoecophyceae and Salpingoeca frequentissima in Choanoflagellatea in 2015, and were Ankistrodesmus bernardii and Quadrigula korsikovii in Chlorophyceae, Didymocystis planctonica in Treubouxiophyceae, Spirulina nodosa, Raphidiopsis curvata and Geitlerinema claricentrosum in Cyanophyceae and Lagynion macrotrachelum in Chrysophyceae, Bicosoeca oculata in Bicosoecophyceae and Salpingeoca rosetta in Choanoflagellatea in 2016.
        4,600원
        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하류의 담수에서 환경요인과 담수조류의 일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온, DO, pH는 15시를 전∙후로 하여 최고치를 보였다. Alkalinity는 주간에 높고 야간에 낮았고 수심이 깊을수록 매우 증가하였으며 pH와는 역 상관이었다. 하루 중 DO 농도는 주기성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담수조류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담수 조류의 수직분포에 있어서는 수심에 대한 감소형, 균등 분포형 및 역전형의 3가지로 분류되었다. 녹조 Chlamydomonas spp., Eudorina elegans, 유글레나조 Euglena spp.는 감소형, Chroomonas spp. 등 은편모조류는 역전형이었고 규조 Cyclotella meneghiniana는 수심에 따라 차이가 없거나 저층의 밀도가 다소 높았다. 영양염 중 SRP 및 NH4는 수심이 깊을수록 농도가 증가하거나 주∙야간에 따른 변동이 관찰된 반면에, NO3는 수심에 따른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