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귤나무속 과수의 주요 해충인 귤응애의 방제효과 극대화를 위해 괭이밥의 천적유지식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괭이밥을 지피식물로 조성한 처리구에서 일반 초생재배구에 비해 포식성 응애류 밀도가 평균 3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제초구에 비해 3.7배 낮은 귤응애 발생 밀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칠레이리응애는 괭이밥응애 알과 성충을 포식하지 못하였고, 사막이리응애는 일일 평균 괭이밥응애 알 1.96개와 암컷 성충 1.93개를 포식하였다. 온도 23 ± 1℃, 습도 70 ± 5%, 광조건 16L : 8D로 설정된 사육실에서 괭이밥응애 알에서 성충까지 17.4일이 소요되었으 며 77.5%의 부화율과 84.8%의 유충생존율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sistance-breaking ability of wild brown planthopper (BPH), Nilaparvata lugens, on resistant rice cultivars has been reported in many Asian countrie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breaking ability of wild BPH in Korea, we conducted the nymphal survivorship test and the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on susceptible and resistant rice cultivars with four different BPH populations, which were collected in the early 1980s (S-BPH), 2005, 2006, and 2007, respectively. The S-BPH showed low survival rates on resistant rice cultivars carrying Bph1 and bph2,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recent(2005~2007) wild BPH populations seemed to have high resistance-breaking ability because they maintained elevated survival rates on most other resistant rice cultivars except Gayabyeo (Bph1 and bph2) and Rathu Heenati (Bph3). In the EPG monitoring, however, wild BPHs could not easily feed on the phloem sap of resistant rice cultivars, Cheongcheongbyeo (Bph1), ASD7 (bph2), and Gayabyeo. Wild BPHs spent more time on reaching the phloem sieve elements of resistant cultivars. Ph waveform duration and honeydew excretion amount of wild BPHs also decreased. From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ough recent wild BPHs collected in Korea have high resistance-breaking ability simultaneously on rice cultivars carrying Bph1 and bph2 through the increase of survivorship, they still have to pay some cost to feed on the phloem sap of resistant rice cultivars.
        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기본적인 행동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무당벌레는 먹이인 진딧물을 탐색할 때에 주로 작은턱수염을 이용하여 접촉감각에 의한 기주탐색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무당벌레가 복숭아혹진딧물을 공격하게 되면 공격받은 진딧물 주위의 다른 복숭아혹진딧물은 근처의 잎으로 이동하거나 아래로 떨어져 도망하는 방어기작이 관찰되었다. 무당벌레가 먹이탐색을 위하여 이동하는 시간과 먹이를 잡고 섭식하는 시간은 무당벌레의 발육단계에 따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무당벌레의 포식력을 조사한 결과 1일 평균 복숭아혹 진딧물은 약 120마리, 목화진딧물은 약 257마리를 섭식하였다. 오이 잎과 토마토 잎에 산란된 온실가루이 알은 무당벌레 3령충의 먹이로 제공하였을 경우 오이 잎에서는 2,420개, 토마토 잎에서는 2,750개의 알을 섭식하였으나, 진딧물을 제공한 무당벌레 유충과는 달리 정상적인 발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