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ismantlement of the Kori Unit 1 and Wolsong Unit 1 nuclear power plants is scheduled. Since about 40% of the cost of dismantling nuclear power plants is the cost of disposing of generated wastes, it is important to secure recycling technologies. Among them,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s are made of porous filters and adsorbent materials of ceramic foam to remove nuclides such as C-14, I, and Xe generated during nuclear dismantling. In order to remove a large amount of nuclide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osity of a ceramic foam filter are important, however when a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lter, the nuclides removal ability is reduced. In order to remove a large amount of nuclide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osity of a ceramic foam filter are important, however when a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lter, the nuclides removal ability is reduc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oam filter performance was improved by applying a sacrificial material to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osity of the ceramic foam filter. The sacrificial material is burned out with polyurethane (PU) of the green filter befor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eramic foam filter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as pores, thereby improv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osity. The sacrificial materials and melting temperature (Tm) reviewed in this study were anthracite (530~660°C), PMMA (160°C), Cellulose acetate (260~270°C), and aluminum particle (660°C), and their effect on the manufacture of foam filters was studied by applying this. The specific surface part and porosity of the foam filter were improved when anthracite and aluminum particle were added, and PMMA and Cellulose acetate, which are relatively low temperature melting points, were burned out at a temperature lower than PU, and thus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not greatly affect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pecific surface part and porosity of ceramic foam filters manufactured using various sacrificial materials will be discussed.
        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어 국내에서는 국지성 호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대해 도심지역 토지의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도로 유출수, Combined Sewer Overflows(이하 CSOs라고 한다.) 등 도심에서의 비점오염원에 의하여 하천 수중생물의 폐사, 부영양화, 대장균 및 병원성 미생물의 증가, 중금속 오염 등의 방류 수계에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CSOs는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에서 강우 시에 처리시설을 거치지 않고 하천이나 해안 등의 수계로 직접 방류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해당 오염 부하량은 강우의 지속시간 및 강우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 때 합류식 하수관로에서는 관로 내부의 퇴적물이 강우 초기에 유출되는 초기세척효과(first flush effect)에 의해 강우 초기에 오염부하량이 높은 값으로 유출된다. 이런 CSOs에 대하여 현재 국내에는 3Q로 차집한 용량에 대하여 2Q의 월류수를 스크리닝 및 완충저류로 이루어진 간이처리만을 통하여 수계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CSOs의 주된 오염물질은 입자성 물질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환경부에서 제시한 임의의 도시지역 하수 평균 SS는 60 mg/L의 값을 나타내는데 강우 초기의 CSOs의 SS는 1,936 mg/L의 값으로 고농도의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입자성 물질을 제거해 줌으로써 입자성 물질에 영향을 받는 다른 항목에 대해서도 그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SOs의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여과(filtration)방법을 선정하였으며, 여과용 담체로는 폐유리를 발포시켜 제조한 여재를 사용하였다. 여과속도 및 여과층 구성에 따른 SS제거효율 및 폐색된 여재의 효율을 복구시키기 위한 역세척 조건에 따른 역세척 효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