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송대 문인들이 식욕과 미각의 즐거움을 추구했던 면모를 게[蟹]를 중심 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송대에 미식을 즐기는 문화가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양한 식재료와 맛에 대한 문인들의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를 살펴보았다. 唐代 와 달리 송대 문인들은 낯선 음식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수용했으며 이러한 면모는 그들을 미식가로 만들었다. 문인의 음식 취향은 일반적으로 소박함과 절제를 우선했 지만, 유독 게에 대해서는 탐식의 면모를 보인다. 그러나 탐식은 詩文을 창작하고 관 련 지식을 정리하거나 교류에서 중요한 매개가 되는 등 ‘문인다운’ 방식으로 표출되 었다. 뿐만 아니라 게는 고향과 벗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하면서 점차 문인의 雅趣로 자리 잡게 되었다.
        5,500원
        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식은 세계인이 공유하는 공통의 언어이다. 최근 지구촌의 각 문화권이 보유하고 있는 독특한 음식문화의 가치는 관광을 통해 재발견되고 있다. 음식은 유.무형의 관광 상품과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면서, 관광지의 이미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음식’ 자체가 관광활동의 직접적인 동기가 되고 있고, 관광 활동의 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문화, 역사, 관광지의 특성이 음식과 융화되어 특정지역이나 민족의 독특한 음식을 먹기 위한 미식관광(gastronomic tourism)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식관광을 경험하거나 계획 중인 미식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00부의 연구 설문지 중 84부의 불성실한 답변 설문지를 제외한 21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식관여도의 미식관광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둘째, 미식관여도는 만족과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셋째, 미식관광동기와 만족·추천의도 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고 미식관여도와 미식관광 속에서 미식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과 방향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또한 제공하였다.